스포츠조선

10월 생산·소비·투자 부진…감소세 21개월만에 최대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7-11-30 11:04


10월 국내 산업생산지수가 2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생산과 소비, 투자가 줄었다는 의미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0월 전체 산업생산지수는 전월보다 1.5% 낮아졌다. 산업생산지수는 7월 1.0% 증가한 후 8월 보합이었다가 9월(0.8%) 증가세로 돌아서고서 이달 큰 폭의 감소로 돌아섰다. 10월 산업생산지수 감소폭은 2016년 1월 1.5% 감소 이후 가장 크다.

국내 산업 전 부문에 걸쳐 생산이 감소한 것이 지수를 낮춘 것으로 보인다. 광공업생산은 자동차(-11.3%), 금속가공(-5.9%) 등에서 부진해 전월보다 1.1% 감소했다. 완성차 수출 부진과 자동차부품의 국내·해외 수요 감소 영향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보다 4.2% 증가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전월보다 0.6%포인트 하락한 71.3%였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8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세다.

서비스업 생산은 부동산·임대(-15.2%), 도소매(-3.6%) 등에서 줄어 한 달 전보다 1.7%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 감소폭은 2011년 2월 -2.1% 이후 가장 컸다.

주택매매와 전·월세 거래량 감소에 따른 부동산중개업 부진, 임시공휴일 등 장기연휴에 따른 자동차 판매 부진 등의 영향이다.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3.6%), 통신기기 등 내구재(-2.0%), 의복 등 준내구재(-2.1%)가 모두 줄어 전월보다 2.9% 감소했다. 설비투자도 기계류(-17.9%) 등에서 크게 줄어 전월보다 14.4% 감소했다. 설비투자 감소 폭은 2012년 6월 -17.8% 이후 가장 컸다.

다만 이러한 감소는 전월의 호조세에 따른 기저 효과 탓으로, 상승 흐름은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통계청의 판단이다.

통계청 측은 "지난달 추석과 같은 명절 영향으로 대부분 지표가 높은 수준이었던 만큼 효과의 영향이 클 수밖에 없었다"며 "일시적 조정 성격이 강해 상승 흐름은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KBL 450%+NBA 320%+배구290%, 마토토 필살픽 적중 신화는 계속된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