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이코스, 글로 등 궐련형 전자담배 출시 7개월 만에 1250억원에 달하는 세금 수입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 반출은 담배 제조업체나 수입판매업자가 담배를 제조장 또는 보세구역에서 외부로 운반하는 행위로, 이 물량에 따라 세금이 부과된다.
같은 기간 정부가 얻은 세수는 1250억원에 달한다.
궐련형 전자담배 반출은 지난 4월 아이코스가 출시되면서 10만갑이 반출됐다. 5월에는 140만갑, 6월 260만갑, 7월 960만갑이 반출됐다.
8월 글로가 출시되면서 1740만갑으로 1000만갑을 돌파한 이후 9월 2010만갑, 10월 2070만갑이 반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4월 1억7000만원에 불과했던 세수는 5월 24억4000만원, 6월 45억2000만원, 7월 167억원으로 급증했다.
반출량이 크게 늘어난 8월에는 302억7000만원, 9월 350억원, 10월 360억원을 기록했다.
결국 7개월간 정부가 걷어 들인 궐련형 전자담배 세수는 총 1250억8000만원에 달한다.
업계는 앞으로 궐련형 전자담배 세수가 크게 늘어날 것이 확실시된다고 보고 있다.
우선 궐련형 전자담배의 개별소비세가 일반담배의 90% 수준으로 올리는 개별소비세법이 국회를 통과해 지난주 시행됐다.
이에 따라 궐련형 전자담배 한 갑에 부과되는 세금은 총 2986원으로 인상돼 연간 약 7400억원의 세수가 있을 것으로 점쳐진다.
여기에 KT&G '릴'을 출시해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이 아이코스, 글로 등과 3파전 양상을 벌이게 되면 판매량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정부의 올 1~10월 올린 일반담배 세수는 약 9조3277억원으로 집계됐다. 일반담배 판매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감안하면 올해 세수는 작년(12조3604억원)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KBL 450%+NBA 320%+배구290%, 마토토 필살픽 적중 신화는 계속된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