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한진·미래에셋 등 대기업 계열사 25곳을 포함, 장애인 고용실적이 매우 저조한 민간기업과 국가단체 등의 명단이 공개됐다.
9일 고용노동부는 2016년 12월 기준 장애인 고용 실적이 현저하게 낮은 국가·자치단체 9곳, 공공기관 23곳, 민간기업 507곳 등 총 539곳의 명단을 발표했다. 대상은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이 1.8% 미만이거나 장애인 근로자(비공무원) 고용률이 1.35% 미만인 국가 및 자치단체, 장애인 고용률이 1.8% 미만인 공공기관(100명 이상)과 1.35% 미만인 민간기업(300명 이상)이다. 고용부는 지난해 12월 조사에서 장애인 고용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난 1056곳 중 신규 채용,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등 개선 노력을 한 517곳을 제외하고 명단을 발표했다.
민간기업 중에서는 부영주택, 진에어, 미래에셋컨설팅, SK그룹의 나래에너지서비스 등 자산총액 10조원 이상 대기업 16곳에 속한 25개 계열사가 포함됐다. 국가·자치단체에서는 입법기관인 국회를 비롯해 장애 인식개선 교육과 장애인 교원양성에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할 교육청 8곳도 포함됐다. 서울·부산·인천·세종·경기·충남·전남·경남 교육청의 장애인 고용률이 낮았다. 공기업 중에서는 한국석유공사가 유일했지만, 공공기관 중에는 중소기업연구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 등 연구 기관들이 다수 포함됐다.
연속으로 공표 명단에 이름을 올린 기업들과 공공기관들도 여전히 많았다. 2회 연속 명단에 포함된 곳은 357곳(기관 23·기업 334)에, 3회 연속은 283곳(기관 13·기업 270)이었다. 대기업 중에서는 대한항공, 금호산업, GS엔텍, 현대 E&T, 진에어, 부영주택, 현대캐터링시스템 등 14곳이 3회 연속 이름을 올렸다. 공공기관 중에서는 국회를 비롯해 서울·부산·인천·세종·경기·충남 등 6개 교육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국방기술품질원, 중소기업연구원, 서울시립교향악단 등이 3회 연속 포함됐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KBL 450%+NBA 320%+배구290%, 마토토 필살픽 적중 신화는 계속된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