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5곳 중 3곳은 인재 채용시 성별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238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3.4%가 '채용시 성별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성별을 고려하는 이유로는 '성별에 더 적합한 직무가 있어서'(78.8%, 복수응답)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야근, 출장 등에 대한 부담이 덜해서'(21.2%), '성별에 따라 우수한 역량이 달라서'(9.3%), '기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해서'(8.6%), '유연한 조직문화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어서'(6.6%), '조직 내 성별 불균형을 막기 위해'(6%) 등의 이유를 들었다.
또한 이들 중 25.8%는 '모든 채용'에서, 74.2%는 '일부 직무'에 한해 성별을 고려하고 있었다.
남성을 선호하는 직무는 '제조·생산'(40.4%, 복수응답)이 1위였다. 계속해서 영업·영업관리(32.5%), '구매·자제'(17.9%), '기획·전략'(17.9%), '연구개발'(15.2%), 'IT·정보통신'(9.9%), '인사·총무'(9.3%) 등의 순이었다.
반면, 여성을 선호하는 직무는 '재무·회계'(55%, 복수응답)가 1위였으며, '인사·총무'(30.5%), '디자인'(21.9%), '서비스'(18.5%), '광고·홍보'(16.6%), '마케팅'(13.2%), '영업·영업관리'(7.3%) 등의 순서로 답했다.
성별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는 특정 성별에 가점을 준다는 응답이 86.8%였으며, 반대로 감점을 준다는 응답이 13.2%였다.
성별을 고려해 채용할 때 유리한 성별은 '남성'(74.2%)이라는 응답이 '여성'(25.8%)이라는 응답보다 3배 가량 많았다.
남성이 유리한 이유는 '남성에 적합한 직무가 많아서'(86.6%, 복수응답), '신체조건 등 타고난 강점이 있어서'(28.6%), '근속 가능성이 더 높아서'(12.5%), '조직 적응력이 더 우수해서'(10.7%), '보유 역량이 더 우수해서'(8.9%), '남성 중심의 조직문화가 있어서'(8.9%) 등이 있었다.
한편, 기업들은 채용시 성별을 고려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채용시 성비에 맞춰 선발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과반 이상인 54.3%가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