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을 두지 않고 혼자 채소가게나 옷가게, 슈퍼, 철물점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의 수가 급격히 줄고 있다. 경기침체와 맞물려 생계형 창업에 나선 이들이 생활이 더욱 팍팍해지고 있는 셈이다.
도소매 영세자영업자는 지난 4월 작년 동월대비 5000명이 줄었다. 지난 5월에는 2만2000명이 감소하며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의 경우 3월과 4월을 제외하면 영세자영업자의 월 증가 규모는 1만명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다. 지난해 7월에는 전년 동월대비 2만4000명이 증가한 바 있다. 1인 영세 자영업자의 감소폭이 크게 느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도소매업 생산지수(계절조정)도 3월 전년 동월대비 -0.6%에서 4월 0.8%로 돌아섰다가 5월에 다시 -1.3%로 떨어졌다.
한은은 도소매 자영업자 감소 등으로 볼 때 서비스업 취업자 수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6월 도·소매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8000명 증가하는 데 그치며 증가 폭이 전달(5만2000명)보다 급격히 축소됐다.
사드 배치 관련 중국 보복 조치로 중국인 관광객 감소폭이 확대되는 것도 서비스업 고용 둔화 주요 요인이다.
4월 이후 중국 관광객 작년 동월대비 감소율이 60% 중반을 기록하며 숙박·음식점업은 고충을 겪고 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는 3만8000명 감소해 5년 6개월 만에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자영업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영세자영업자의 상황은 좋지 않는 게 사실"이라며 "경기불황이 지속되고 있어 당분간 이같은 현상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