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전체 자영업자 증가에도 1인 도소매 사업자 감소 사라지는 '동네 가게'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7-07-17 13:52


직원을 두지 않고 혼자 채소가게나 옷가게, 슈퍼, 철물점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의 수가 급격히 줄고 있다. 경기침체와 맞물려 생계형 창업에 나선 이들이 생활이 더욱 팍팍해지고 있는 셈이다.

1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전 업종 영세자영업자는 올해 들어 5월까지 작년 동월대비 41만9000명이 증가했다. 4월에 7만명, 5월에도 3만7000명 가량이 증가했다.

그러나 1인 도소매업 영세자영업자는 올해 들어 5월까지 작년 동기 대비 1만명 감소했다. 내수경기 부진으로 고용원 없이 주인 혼자 운영하는 도소매업체 폐점이 많아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도소매 영세자영업자는 지난 4월 작년 동월대비 5000명이 줄었다. 지난 5월에는 2만2000명이 감소하며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의 경우 3월과 4월을 제외하면 영세자영업자의 월 증가 규모는 1만명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다. 지난해 7월에는 전년 동월대비 2만4000명이 증가한 바 있다. 1인 영세 자영업자의 감소폭이 크게 느껴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은은 도소매 영세자영업자 감소를 도소매 업황의 부진 탓으로 해석하고 있다. 도소매업 업황실적 경기실사지수(BSI)는 3월 76에서 4월 79로 올라갔다가 5월 76, 6월 71로 하락중이다.

도소매업 생산지수(계절조정)도 3월 전년 동월대비 -0.6%에서 4월 0.8%로 돌아섰다가 5월에 다시 -1.3%로 떨어졌다.

한은은 도소매 자영업자 감소 등으로 볼 때 서비스업 취업자 수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6월 도·소매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8000명 증가하는 데 그치며 증가 폭이 전달(5만2000명)보다 급격히 축소됐다.

사드 배치 관련 중국 보복 조치로 중국인 관광객 감소폭이 확대되는 것도 서비스업 고용 둔화 주요 요인이다.

4월 이후 중국 관광객 작년 동월대비 감소율이 60% 중반을 기록하며 숙박·음식점업은 고충을 겪고 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는 3만8000명 감소해 5년 6개월 만에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자영업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영세자영업자의 상황은 좋지 않는 게 사실"이라며 "경기불황이 지속되고 있어 당분간 이같은 현상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마감직전토토 국내 유일 실시간 현장정보 무료 제공 이벤트 실시!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