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국내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전용 중계 장치를 개발하고 분당에서 용인·수원까지 왕복 112Km 구간의 실험망에서 양자암호키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전용 중계장치를 여러 개 연결하면 수백~수천Km까지 양자암호통신을 보낼 수 있다는 게 SK텔레콤 측의 설명이다.
양자암호통신은 단일 양자 수준의 미약한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전용 중계장치 개발 전에 양자암호키 전송은 약 80Km까지만 가능했다. 때문에 뛰어난 보안 성능에도 불구하고 '거리의 한계'가 양자암호통신 상용화의 큰 걸림돌이었다.
SK텔레콤은 올해 말 전용 중계장치를 자사 상용 망에 일부 적용하고, 양자암호통신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이 장거리 양자암호통신 시연에 성공함에 따라 관련 시장의 성장이 예상된다. Market Research Media에 따르면, 국내 양자정보통신 시장은 2021년부터 빠르게 성장해, 2025년 약 1조 4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5년 약 26조 9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양자암호통신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통신사의 기간통신망은 물론, 행정·국방·금융·의료 등 정보 보안이 꼭 필요한 다른 산업에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의 활용도가 상당히 높다.
SK텔레콤은 지난 2011년부터 양자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양자암호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등 6년 간 한국산 기술 확보에 매진해 왔다.
이번에 발표한 전용 중계장치 역시 미래부의 '양자암호 테스트베드 구축' 국책사업 지원에 힘입어, 지난 2년 간 각고의 노력 끝에 만들어 낸 순수 국내 기술이다. SK텔레콤은 많은 수의 양자암호키를 동시에 다양한 수신처로 보내줄 수 있는 전용 중계장치도 개발해, 상용 망에 적용할 계획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장거리 양자암호통신 성공으로 우리나라도 선진국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며 "양자암호통신이 대한민국을 대표할 수 있는 기술이 될 수 있도록, 핵심 기술 개발은 물론 관련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