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백내장' 수술 후 '난시' 여부가 후유증 좌우!

이규복 기자

기사입력 2017-05-24 10:57


백내장은 맑고 투명했던 수정체가 노화로 인해 혼탁해져 사물이 뿌옇고 답답하게 보이는 안질환이다. 주로 50대부터 시작돼, 60대의 60%, 70대의 70% 이상이 백내장을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하지만 방치하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같한 주의가 요구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5년 한해 인구 10만명당 백내장 수술 건수는 약 945건으로, 국내 수술 건수 1위를 차지했다.

정영택 온누리스마일안과 원장(안과 전문의)은 "백내장 수술이 보편화 돼 있지만, 환자들이 간과하기 쉬운 것이 바로 난시"라며 "기껏 백내장 수술을 받아도 자칫 난시가 새로 생기거나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등 시력교정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초기 백내장은 약물치료로 혼탁증세를 일시적으로 늦출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점차 심해지면 수술을 받아야 실명을 피할 수 있다. 백내장수술은 노화한 생체수정체를 제거한 뒤 그 자리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최근 등장한 다초점인공수정체(멀티포컬)에는 근거리 시력을 함께 해결하는 기능도 있다.

백내장 수술 시 생체수정체를 제거하면서 기존에 수정체가 유발했던 난시가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삽입한 인공수정체의 축이 기울어지거나 혹은 중심에서 이탈한 경우 위치에 따라 새로운 난시가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백내장 수술 후 난시가 생기면 일반 난시보다 빛 번짐이 심해지고 어지럼증, 혼합난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수술 후 난시를 교정하기 위해 다시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해야 한다. 심한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지난 뒤 난시교정술을 따로 받아야 한다.

특히, 원시와 난시가 함께 나타나는 혼합난시는 항상 시야가 뿌옇고 눈을 뜨거나 움직일 때마다 어지럼증이 생겨 생활에 불편이 크다. 수술 전 보다 눈 시림과 피로도가 심하고 눈물도 자주 나올 수 있다. 혼합난시는 라식이나 라섹 같은 시력교정수술을 받은 뒤 발생하기도 한다.

이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 자신의 난시여부를 정확하게 검사 받는 것이 필요하다. 그 후 난시 축과 절개 위치를 고려해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수술을 이미 받은 후 난시가 생긴 경우에는 각막을 깎지 않는 난시교정술로 해결할 수 있다.

정영택 원장은 "난시를 고려해 백내장과 노안 수술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술 후 생활습관에 의해서도 난시가 다시 생길 수 있으므로 눈을 세게 감거나, 자주 비비고, 엎드려 자는 습관은 삼가야 한다"고 전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정영택 온누리스마일안과 원장이 백내장 수술을 하고 있다.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