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불황의 여파로 폐업률이 급증하는 등 창업자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에 인건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소자본 1인 창업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 프랜차이즈 컨설팅 협회는 "1인 소자본 창업으로 잘 알려진 저가 커피 창업이 근래에 위축되고 있는 것을 보면 아이템의 경쟁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투자비용은 얼마든지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은 누구도 쉽지 않다.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아이템을 내세워야 한다. 소자본 디저트카페창업 디저트39가 1인 소자본 창업 유망 아이템으로 급부상한 것도 바로 그 이유다."라고 전했다.
소자본 디저트카페창업 디저트39은 브랜드 런칭 후 단 6개월이 지난 최단 기간 내에 100호점 오픈을 하며 롯데·갤러리아 등 전국 대형 백화점 식품관 메인코너에 입점하는 등 소자본 창업으로서 보기 드문 사례를 선보였다.
또한 계절적인 영향에 둔감한 디저트가 메인인데다가 국내에서는 맛보기 힘든 해외 현지 인기 디저트를 판매함으로써 제품의 희소가치를 높였다. 이 때문에 추운 겨울에도 먼 거리에도 마다하지 않고 찾아오는 소비자들로 인해 10평짜리 극소형 테이크아웃 매장에서 일일 100~300만 원대의 고매출을 내고 있다.
창업전문가들은 디저트39가 흔하지 않은 창업 성공 사례로 불리는 이유 중 하나로 높은 객단가를 꼽았다. 프리미엄 디저트답게 최소 5천 원, 최대 5만 원대로 단가가 폭 넓게 책정되어 있다. 일반 소자본 저가 카페창업으로 1~2천 원짜리 저가 커피를 100명에게 박리다매식 판매했을 때 수익은 10만원이 채 되지 못한다. 반면 디저트39는 빠른 회전율로 1인 평균 1~2만원의 매출을 발생시키므로 기존 테이크아웃 창업의 최소 5배 되는 수익을 볼 수 있다.
한국 프랜차이즈 컨설팅 협회는 "소자본 디저트카페창업 디저트39의 빠른 성장은 프랜차이즈 창업시장에서 찾아보기 힘든 성공사례. 가맹점과의 동반성장, 체계적 관리를 위해 매달 10~15개 매장 오픈 제한을 두고 있어 최근에는 200호점 오픈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 높은 신뢰도와 롯데백화점 등 전국 대형 백화점 식품관 입점으로 인한 경쟁력 증대로 장래성이 큰 창업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