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대는 눈, 코, 얼굴형, 이마 등에 비해 얼굴에서 덜 주목 받는 부위다. 하지만 '밸런스'와 '자연스러움'을 강조한 최근 성형 트렌드를 살펴보면 광대 역할은 인체의 허리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대의 크기에 따라 얼굴 폭과 인상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광대가 과하게 클 경우, 남성다운 이미지로 강하고 드센 인상을 줄 수 있고, 광대가 과하게 작을 경우 쇠약하고 나이 들어 보이는 소심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볼처짐은 광대재수술 주요 원인이다. 볼처짐 부작용은 크게 메이저(major)와 마이너(minor)로 나눈다. 마이너는 뼈를 줄인 후 남는 살이 처지는 것을 말한다. 아무리 수술을 잘하고 고정을 제대로 해도 생길 수밖에 없지만 다행히도 일반인들은 거의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의 미세한 볼처짐이다. 그래도 신경이 쓰일 경우에는 레이저 지방흡입과 타이트닝 시술을 받으면 쉽게 해결된다. 반면 메이저는 수술 후 고정을 제대로 하지 않아 광대뼈가 벌어지거나 처지면서 붙어 있는 살까지 처지는 부작용이다. 수술 중 고정만 제대로 해줘도 생길 이유가 없으며, 경험이 충분한 의사들은 볼처짐을 막기 위한 각자의 기술을 갖고 있다.
안면윤곽수술 전문의 최봉균 CBK 성형외과 원장은 "같은 광대라도 뼈 두께나 모양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수술방법이 완전히 달라진다"며 "사각턱과 연결된 교근의 움직임에 의한 광대뼈 이동범위를 면밀히 측정해 정확한 위치에 뼈를 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부작용 없는 안전한 수술을 위해서는 병원 내에 3D-CT와 첨단영상진단 장비구축 여부, 전문의의 수술경력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응급상황 발생 시 진행되는 의료협진 체계 구축 여부, 수술 부위의 감염·부기 완화에 도움되는 사후관리 프로그램 여부도 체크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광대뼈 축소술도 안면 수술의 일종이기 때문에 수술 후 관리도 중요하다. 수술 후 일주일은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해야 하며 딱딱하고 질긴 음식은 4주 정도 피하는 것이 좋다. 수면 시에는 푹신한 베개를 2~3개 정도 받쳐서 자는 것이 부기나 통증을 가라앉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최 원장은 "씹는 근육인 교근이 사각턱과 광대뼈 사이에 있기 때문에 음식을 씹을 때마다 광대뼈를 당길 수밖에 없는 구조다. 광대축소술 시에는 고정이 단단히 이루어져야 광대수술 후 볼처짐이 없다"며 "만약 심각한 볼처짐이 나타났다면 근본적으로 수술 자체가 잘못됐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해 재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