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 관련 검찰 수사가 재계와 연예계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검찰의 압수수색 후 잠잠했던 은행권으로 또 다시 검찰의 칼끝이 향하게 됐다.
국민은행 모 지점이 유령법인을 세운 뒤 이 법인을 거쳐 투자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줬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베트남 유치원 관계자가 제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처음 언론의 집중 포화를 받은 시중은행은 하나은행이다. 하나은행은 이 사건과는 별개로 지난 9월 28일부터 금감원의 검사를 받던 중이었다. 그 와중에 지난달 28일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정재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특혜 의혹을 제기함에 따라 금감원이 추가로 정유라씨 대출에 대해 사실 확인에 나섰다. 조사는 0%대 대출금리와 정씨가 어떻게 기업들이 주로 이용하는 보증신용장으로 대출을 받았는지에 집중됐다.
금감원은 지난 9일 하나은행에 대한 종합검사를 마쳤다. 금감원은 대출금리는 일반적인 수준인 것으로, 보증신용장 발급은 외환거래규정에 따라 한국은행에 신고를 마친 적법한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은행이 금감원 검사 마무리와 함께 의혹을 벗은 반면, 국민은행은 이날 보도로 최순실 게이트의 중심에 서게 됐다. 최순실 게이트가 국민적 이슈가 됨에 따라 낙하산 인사에 대한 부담을 더는가 싶었는데 오히려 그동안의 의혹이 증폭되며 더 큰 위기를 맞게 된 셈이다.
최순실씨는 국민은행의 VIP 고객이다. 귀국 후 검찰에 출두하기전 서울 강남의 국민은행 봉은사로지점에서 5억원의 현금을 인출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된 바 있다. 국민은행 봉은사로지점은 최순실씨가 서울 신사동 미승빌딩을 담보로 2억6000만원을, 강원도 평창 땅 등을 담보로 5억원 상당의 대출을 받은 곳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국민은행 봉은사로지점은 최순득씨 남편 장석철씨가 보유한 승유빌딩 1층에 입점해 있어 의혹의 중심에 서게 됐다. 국민은행 봉은사로지점은 2013년 이후 최순득씨, 장석철씨 등 최순실씨의 인척들에게 강남 일대 부동산을 담보로 총 19억원을 대출해 준 것으로 알려졌다. 모두 제3자 담보 제공 형식으로 대출됐으며 이 가운데 10억원 정도가 이번 장시호씨의 베트남 투자에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은행 측은 "아직 사실 여부를 파악하지 못했다"며 "일개 직원이 페이퍼컴퍼니 설립에 관여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