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일 정부가 주택시장 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한 새로운 부동산대책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지난달 아파트 청약자가 2007년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전국 아파트 청약자 수는 82만7810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82만840명이 1순위 통장을 사용했다. 청약자 대부분이 1순위자인 셈이다. 이에 따라 1순위 마감단지도 연중 최대치인 평균 85%를 기록했다.
총 74개 단지 중 무려 63곳, 전체 단지의 85.1%가 1순위에서 마감됐다. 전체 공급 단지 중 월별 1순위 마감 비율이 80%를 넘어선 것은 2010년 2월(90.9%) 이후 6년9개월 만이다. 올 9월까지 1순위 마감 비율은 50∼60% 선이었다.
서울시와 부산시,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 등 6개 광역시도는 공급된 새 아파트 모두가 1순위에서 청약이 마감됐다. 서울의 경우 1순위 청약 경쟁률이 평균 33대 1로 올 들어 가장 높았다. 부산은 무려 평균 188대 1을 넘는 경쟁률을 보였다.
한 달 동안 5만2446가구가 일반분양 됐던 지난해 11월의 청약자 수가 60만8667명인 것을 감안하면 지난달 공급물량은 1만가구 이상 적은데도 청약자 수는 20만명 이상 많았다. 정부의 8·25 가계부채대책에 따라 지난달부터 시행된 중도금 대출 규제 등의 규제가 무색한 결과다.
이미윤 부동산114 리서치팀 과장은 "정부의 대책이 분양권 전매제한, 재당첨제한, 1순위 당첨 요건 강화 등 청약제도 개선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며 규제 전 막차를 타려는 사람들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규제가 강남권 등 집값 급등지역을 중심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비강남권의 청약이 더 과열되는 '풍선효과'도 일부 나타났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분양권 전매가 입주 때까지 전면 금지되는 등 정부대책의 강도가 예상보다 강할 경우 청약시장에 적잖은 타격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향후 입주물량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청약시장이 움츠러들 경우 기존 주택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114의 조사에 따르면 이달 6만6000여가구를 포함해 연말까지 분양 예정인 아파트는 전국적으로 13만여가구에 이른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