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탄수화물(밥) 섭취를 줄이는 대신 지방(육류) 위주의 식사를 하는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인기다.
이같은 다이어트 방법에 관한 직장인들의 생각은 어떨까?
취업포털 커리어는 직장인 248명에게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이하 고지저탄)'를 주제로 한 설문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반면 '고민한 적 있다(38.7%)'고 답한 직장인들이 고지저탄 다이어트에 관심을 갖게된 이유로는 '매체에서 고지저탄 다이어트에 대한 정보를 많이 들어서(33.3%)'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밖에 '고기 위주의 식사를 할 수 있어서(29.2%)', '이전 다이어트에서 효과를 보지 못해서(20.8%)', '고지저탄 다이어트로 체중 감량에 성공한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서(16.7%)' 순이었다.
'고지저탄 다이어트'에서 가장 우려되는 부작용에 대해 묻자 '고지혈증(33.9%)'이 가장 많았으며, '영양불균형(27.4%)', '요요(21%)', '어지러움/집중력 저하/탈모(각 3.2%)'가 걱정된다는 의견도 있었다.
'고지저탄 다이어트 식단 5가지 원칙 중 가장 지키기 어려운 내용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가공되지 않은 질 좋은 지방 먹기'와 '탄수화물 함량(하루 30g) 따져 먹기'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배가 고플 때 식사하기(19.4%)', '5가지 원칙 모두(17.4%)', '고지방식과 적절한 운동 병행하기(12.9%)', '식이섬유와 미네랄이 풍부한 잎채소 먹기(4.8%)' 순이었다.
한편, 의학·건강 관련 5개 전문학회(대한내분비학회, 대한당뇨병학회, 대한비만학회, 한국영양학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는 저탄수화물·고지방 식사가 장기적으로 체중감량 효과를 보기 어렵고 건강과 영양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공동 성명서를 지난 26일 발표했다.
학회는 저탄수화물·고지방 식사가 탄수화물을 전체 칼로리의 5~10% 수준으로 줄이는 대신 지방 섭취를 70% 이상으로 늘리는 비정상적인 식사법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일상식단에서 문제가 되는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를 피하는 수준을 넘어선다는 것이다. 다이어트에 효과 측면에서도 단기간에는 체중감량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게 학회의 주장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