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직장인 10명 중 7명 "연봉에 불만족"…이직 준비도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16-10-10 14:22


직장인 10명 중 7명은 본인의 연봉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절반 가량은 연봉이 많은 곳으로 이직을 준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최근 직장인 1169명을 대상으로 '현재 연봉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69.6%가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다.

기업 형태별로는 중소기업(73.4%), 중견기업(63.7%), 대기업(58.4%)의 순으로,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연봉이 적절하지 않다고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이들은 연봉이 적정하지 않은 이유로 '기여한 바에 비해 낮아서'(46.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동종 업계 수준에 비해 낮아서'(35.1%), '타 업종의 동일 직급자에 비해 낮아서'(34.3%), '보유한 능력에 비해 낮아서'(32.3%) '입사 동기, 후배 보다 낮아서'(9.7%) 등이 있었다.

적정하지 않은 연봉이 직장생활에 미친 영향으로는 '연봉이 많은 곳으로 이직 준비'(52.8%,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애사심 하락'(50%)이 바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 '월급 받는 만큼만 일하게 됨'(49.6%), '스트레스와 짜증 증가'(39.2%), '목표 달성 의지 약화'(38%), '업무 집중도 저하'(35.5%), '연봉이 높은 업종으로 전환 준비'(31.4%), '자기 계발을 위해 노력'(25.9%), '열등감에 빠짐'(24.9%) 등의 응답 순이었다.

아울러 직장인들이 받고 싶은 평균 희망 연봉은 대기업(5247만원), 중견기업(4687만원), 중소기업(3980만원)의 순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1300만원 가량 격차가 있었다.

직급별로는 임원급(6679만원), 부장급(6230만원), 과장급(5603만원), 대리급(4172만원), 사원급(3511만원)의 순이었다.

현재 직장에서 연봉을 올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61.3%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연봉은 직장을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지만, 연봉이 높은 곳만을 좇으며 자주 회사를 옮기기 보다는 몸값을 인정받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하면서 자연스레 연봉이 따라 올라가도록 하는 것이 본인의 장기적인 평판과 커리어 관리 측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