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P2P 대출금리 평균 12.4%로 높아…대출자 과반이 불만"

조완제 기자

기사입력 2016-08-24 14:12


최근 금융기관이 아닌 온라인을 이용해 다수의 개인에게 돈을 빌리는 P2P(Peer to Peer) 대출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 대출 이자율과 투자 원금 손실 위험 등의 측면에서 대출 이용자들이나 투자자들의 불만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2년 이내 P2P대출을 이용해본 경험자 300명(대출경험자 150명, 투자경험자 110명, 대출·투자경험자 40명)과 주요 P2P대출 업체 1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P2P대출 운영 실태를 24일 발표했다. P2P 대출의 일반적 형태는 돈이 필요한 개인이 P2P 대출을 중개하는 업체의 웹사이트 등을 통해 대출을 신청하면 다수의 개인 투자자가 '십시일반'식으로 돈을 모아 빌려주는 것이다.

P2P대출을 받아본 190명은 주로 '생활자금 충당'(47.9%)과 '기존 고금리 대출 상환'(37.9%)을 위해 P2P 대출을 신청했고, 평균 대출 금리는 12.4%였다. 대출이용자들의 만족도는 낮았다. P2P대출 서비스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조사대상 중 46.8%로 절반에 못 미쳤다. 대출서비스를 이용하다 불만을 경험한 소비자들(52명)은 불만사유로 '높은 대출금리'(19명, 36.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정보·안내 부족'(7명, 13.5%), '불친절'(5명, 9.6%), '과다한 광고'(3명, 5.8%), '대출제공 지연'(3명, 5.8%), '서비스 절차 복잡'(3명, 5.8%) 등의 순이었다.

투자경험자 150명의 평균 투자금액은 1224만원으로, 연 평균 10.0% 수익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업체를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서는 투자자 1인당 평균 투자금액은 적게는 291만원, 많게는 1600만원까지 벌어들였다. P2P 투자 경험자의 52%는 "서비스에 만족한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정보·안내 부족(27.1%)·채무 불이행에 따른 원금손실(20.8%) 등 불만을 호소한 투자자들도 있었다.

소비자원은 "P2P 대출 투자는 은행 예·적금과 달리 원금 보호가 되지 않는 투자 상품으로, 대출자의 채무불이행에 따른 피해는 모두 투자자가 감수해야한다"며 "특히 원금손실 같은 피해가 실제로 발생한 경우도 있는 만큼 P2P 대출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