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저축성보험, 상품추가보다 추가납입이 수익성 높다?

이규복 기자

기사입력 2016-08-23 14:17


내년 상반기부터 저축성 보험료의 추가 납입도 자동이체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금까지는 일부 보험사만 허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칫 이체시기를 놓치면 환급 보험금이 낮아지는 것을 감수해야 했다.

금융감독원은 23일 2017년 상반기 안으로 모든 보험사가 추가납입 보험료에 대해 자동이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권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일례로 입사 초 매달 10만원씩 납입하는 10년 만기 저축성 보험에 가입했다면 시간이 지나 월급이 높아지고 여유가 생길 경우 일정 금액을 추가해 보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모집 수수료 등이 별도로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저축성 보험을 하나 더 드는 것보다 유리하다.

금감원의 시뮬레이션 결과 같은 시기에 저축성 보험에 들어 매달 30만원씩 10년간 납입한 A씨보다 10만원만 기본보험료로 납입하고 20만원은 추가납입 한 B씨의 최종 환급금액(평균 공시이율 3.5% 가정)이 145만원 더 많았다. 매월 사업비 등으로 차감되는 비용이 A씨가 1만7790∼2만8380원으로 B씨 1만3490∼1만3530원보다 많기 때문이다.

6월말 기준 2건 이상의 저축성 보험에 가입한 계약자는 306만1000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19.2% 수준이다. 같은 기간 추가납입을 활용한 계약자는 47만7000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3%에 그쳤다.

온라인 저축성 보험 등 일부 상품은 보험료 추가납입제도를 운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입 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다.

추가납입 시 한도가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본 보험료의 2배 이내에서 추가로 납입을 할 수 있지만 상품별로 한도가 다를 수 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