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서 '신라가 일본에 조공을 바쳤다'는 등 왜곡된 내용이 또 발견됐다.
일본 지유샤 교과서는 2011년 판에서 "562년 드디어 임나는 신라에 멸망 당해 야마토 조정은 조선에서 영향력을 상실했다"고 기술했다. 그러나 2015년 판에는 "임나가 멸망하자 신라는 이 문제에 일본이 개입하는 것을 피하고자 일본에 임나의 산물을 보내 우호적인 자세를 취했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이는 한국과 일본 학계에서 이미 폐기된 학설로 여겨지는 '임나일본부설'('일본이 고대 한반도 가야지역에 임나일본부라는 기관을 두고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설)을 다시금 끄집어낸 것이다.
이외에도 양국 고대사를 왜곡하거나 틀린 표현을 쓰는 경우가 상당수 발견됐다.
8종 교과서 모두 '한반도'를 '조선반도'라고 표현, 가야는 '가야'와 '임나'를 혼동해서 기술했다. 이쿠호샤는 '광개토왕비'의 비문 중 하나인 '신묘년조'의 사진을 제시하면서 "'왜가 조선반도에 출병해 백제와 신라를 복속시켰다'고 쓰였다"고 왜곡했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