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삼성전자, 임·직원 보수차 66배로 1위… CJ 59배·신세계 49배 등

이규복 기자

기사입력 2016-04-17 14:37


국내 주요 52개 그룹의 상장 계열사 가운데 등기임원과 직원의 평균 보수(연봉) 격차가 가장 큰 기업은 삼성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임원과 직원 간의 보수 차는 66배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2만기업연구소는 17일 2015년도 사업보고서를 근거로 주요 52개 그룹의 상장 계열사 241곳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등기임원 1인당 보수는 평균 6억2600만원, 직원 1인당 평균 보수는 6190만원으로 임원과 직원 간 약 10.1배의 격차를 보였다.

삼성전자의 임원 보수는 66억5600만원으로 52개 그룹 계열사 중 가장 많았다. 2위인 CJ제일제당의 33억600만원에 비해서도 2배 차이가 났다.

반면, 삼성전자의 직원 평균 보수는 1억70만원으로 전체 6위로 임원과 직원 간의 보수격차가 66.1배에 달했다.

등기임원 평균 보수 2위를 차지한 CJ제일제당은 임원과 직원간 임금격차가 58.6배, 신세계푸드는 48.4배 차이를 보였다.

등기임원과 직원의 평균 보수 격차가 15배를 넘는 곳은 전체 42개사로 17.5%에 달했다.

한국2만기업연구소는 "통상 등기임원과 직원 간 평균 보수격차가 15배를 넘으면 다소 과하다는 시각이 우세하다"며 "직원 보수에는 미등기 임원 중 사장, 부사장, 전무 등의 보수가 포함돼 있어 등기임원과 직원의 임금격차는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한국거래소와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10대 그룹 중 7개 그룹의 매출이 줄었고 GS(11.49%)와 한화(8.10%), 현대차(4.25%) 등 3개 그룹만 늘었다.

SK는 15.73%나 급감해 감소폭이 가장 컸고 포스코(-11.39%)와 현대중공업(-10.02%)도 두 자릿수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삼성(-4.21%)과 롯데(-4.14%)의 매출 감소도 코스피 상장사의 평균치보다 나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 역시 2014년 206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200조6000억원으로 매출이 2.69% 줄었다.

한편, 10대 그룹 68개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64조2000억원으로 2014년 59조6000억원 보다 7.7% 증가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