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이통사 LTE 속도 마케팅 과열…소비자 체감은 어려워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6-03-28 11:06


이동통신3사의 롱텀에볼루션(LTE) 속도 마케팅은 한창이지만 소비자가 체감하는 속도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3사가 무선 LTE 최고 속도를 33% 개선했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소비자 편의성을 높이는데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은 갤럭시S7과 G5 출시를 계기로 다운링크 256쾀(QAM) 기술을 상용화했다.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를 33% 빠르게 하는 최신 LTE 기술이다.

이통 3사는 기존 3밴드 LTE-A의 최고 속도가 300Mbps에 달한다고 홍보해왔다. 다운링크 256쾀 기술 상용화로 이제 최고 400Mbps의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고도 강조해왔다.

특히 최고 867Mbps의 와이파이와 3밴드 LTE-A를 묶으면 1.27Gbps까지 속도를 높일 수 있어 1GB 용량의 영화를 5초 만에 다운받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사실은 조금 다르다. 이론적인 속도에 불과하다. 실험실에서 가능할지 몰라도 실생활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미래창조과학부가 3개월 전 발표한 2015년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이통 3사 3밴드 LTE-A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63.01Mbps에 불과했다. 이통3사가 광고한 최고 속도의 절반에 그친다.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스마트폰 최고 속도가 300Mbps든 400Mbps든 차이를 체감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대부분 소비자는 영화 등 동영상을 다운로드하기보다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통상 20Mbps 정도면 HD급 고화질 동영상을 쾌적하게 시청하는 데 부족함이 없다.

이통사도 이같은 점을 인식하고 있다. 기본 데이터를 소진해도 3Mbps 남짓의 속도로 데이터를 계속 쓸 수 있는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판매한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이뤄졌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이통업계 한 관계자는 "3G에서 LTE로 전환 당시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가 소비자 체감으로 이어져 TV를 대체할 정도로 스마트폰 동영상 수요가 늘었지만 LTE에서의 속도 개선은 소비자 체감 온도가 낮아 소비자 이용 패턴이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