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 직장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에 대해 남녀간의 생각이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여성은 직장생활에 방해가 되는 이유로 '가사 및 육아에 신경 써야 해서'(76.5%,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경력 단절이 생길 수 있어서'(56.1%), '직장에서 기혼자에 대한 배려가 없어서'(46.7%), '퇴사에 대한 압박이 있어서'(27.6%), '경제적 부담이 커져서'(23.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그렇다면, 실제 결혼으로 인해 직장생활에 도움이나 차별을 받은 경험은 얼마나 될까?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27.8%가 '혜택을 받은 경험이 있다'라고 답한 반면, 여성은 9.5%에 그쳤다.
이들이 받은 혜택 1위는 '연말정산 세금 혜택'(57.6%, 복수응답)이었다. 이외에도 '출산, 육아 휴가'(31.5%), '출산, 육아 관련 보너스'(26.1%), '주택 대출 등 지원'(20.7%), '업무 배분 시 배려'(16.3%), '근무시간 조정'(16.3%), '임금 우대'(15.2%), '승진 우대'(2.2%) 등이 있었다.
반대로, 차별 받은 경험은 14.8%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여성은 36.9%가 차별 받은 적 있다고 밝혀, 남성(8.6%)보다 4배 이상 많았다.
차별의 유형으로는 '출산, 육아 휴가 사용 어려움'이라는 응답이 50.9%(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임신, 출산으로 퇴사압박'(24.6%), '기타'(22.8%), '불공정한 업무 배분'(22.8%), '승진 누락'(22.8%), '부서 배치 시 불이익'(22.8%), '임금 차별'(17.5%), '성과 보상 시 불이익'(15.8%)이라는 답변이 있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