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KT 직원, SK브로드밴드-CJ헬로비전 합병 주총결의 '무효' 소송 제기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6-03-08 16:56


KT 직원이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이 지난 2월 26일 개최한 임시주주총회에서 양사간 합병을 결의한 것에 대해 무효임을 확인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8일 KT에 따르면 KT직원은 CJ헬로비전 주주인 당사 직원이 서울 남부지방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CJ헬로비전 주주인 KT 직원은 주총회 결의 무효 사유에 대해서 합병 비율의 불공정한 산정, 방송법 위반,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등을 꼽았다.

우선 그는 주총에서 SK브로드밴드의 주식가치를 의도적으로 높게, CJ헬로비전의 주식가치는 의도적으로 낮게 평가하는 방법으로 합병비율을 현저히 불공정하게 이뤄진 점을 문제 삼았다. 합병비율이 불공정하게 산정됨에 따라 CJ헬로비전의 주주는 보유 주식 가치를 부당하게 낮게 평가받는 손해를 입게 됐고, SK브로드밴드의 100% 주주인 SK텔레콤은 합병법인의 신주를 부당하게 많이 배정받는 이득을 얻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또 '경영권의 실질적 지배자가 정부의 주식인수 승인 없이 지분에 대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고 규정한 방송법(제15조의2 제3항)을 들어 주총 무효를 주장했다. SK텔레콤은 CJ오쇼핑이 보유한 CJ헬로비전 주식 30%를 인수하고, CJ오쇼핑과 본 건 합병을 합의하여 CJ헬로비전의 실질적 지배자가 됨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인수합병 승인이 나기 전에 CJ오쇼핑으로 하여금 주총에서 SK텔레콤과 합병계약에서 합의한대로 의결권을 행사해 합병을 승인하도록 한 만큼 주총이 무효라고 밝혔다.

특히 전기통신사업법에는 '기간통신사업자의 최대주주가 되려는 자나 기간통신사업자인 법인을 합병하려는 자는 정부의 인가 없이 합병의 이행행위를 할 수 없다(제18조 제9항 제3호)'고 규정하고 있지만 정부의 인가 전에 주총에서 합병 승인결의를 한 점도 지적했다.

KT 측은 KT직원의 소송과 관련 "해당 사유에 따라 효력이 없는 합병계약을 승인한 임시주총 결의는 무효"라며 "시장의 공정 경쟁구도를 송두리째 뒤흔들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은 부당하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