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장동현)이 16일 전송망 가상화 기술인 'T-SDN(Transport-Software Defined Networking , 전송망 소프트웨어 정의망)'을 전송망 장비 일부에 적용해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했다.
교환기 영역의 경우 지난 8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가상화 LTE 교환기인 'vEPC(Virtualized Evolved Packet Core)'와 가상화된 네트워크의 기능 관리를 위한 국제 표준 시스템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가, 9월에는 HD보이스용 가상화 교환기인 'vIMS(virtualized IP Multimedia Subsystem)'가 각각 상용망에 도입된 바 있다.
새로 상용화된 'T-SDN'은 다양한 제조사 장비로 이뤄진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적의 경로를 찾아 트래픽을 관리하는 기술로, 현재 광전송망 장비에 일부 적용됐으며, 오는 2016년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T-SDN의 상용화로 기지국부터 서비스까지 전 네트워크 영역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게 됐으며, 이를 기반으로 가상화 관련 세계 최고 수준의 운용 역량을 확보하게 됐다"며 "네트워크 가상화에 더욱 박차를 가해 5G 도입과 차세대 플랫폼 사업자로의 변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