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다 남은 수박을 냉장 보관할 경우 세균이 급속히 번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3000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세균 수치는 섭취했을 경우 복통을 일으킬 수 있는 수준이라고 소비자원은 전했다.
또한 표면을 1㎝ 정도 잘라낸 부분의 세균수도 최대 7만cfu/g에 달해 잘라낸 직후보다 세균이 583배 이상 늘었다.
조각으로 자른 후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보관한 수박의 7일 평균 세균수는 500cfu/g으로, 반으로 잘라 랩으로 덮어둔 수박의 7일 평균 세균수인 5만1000cfu/g의 100분의 1수준이었다.
한편, 보관 방법에 관계없이 냉장 보관한 수박들은 모두 하루가 지나면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이에 대해 소비자원은 초기 수박 절단 시 껍질에 잔류하던 균에서 오염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번 실험은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멸균한 칼, 도마 등을 사용하고 식중독균이 존재하지 않는 냉장환경에서 진행됐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일반 가정에서 하나의 칼, 도마로 음식을 조리하는데다 냉장고 문을 수시로 열고 닫아 일정 온도 유지가 힘들고, 냉장고 내 다른 음식물 등으로 인해 교차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이번 시험결과보다 세균오염이 더 심각할 수 있다"면서 "수박을 먹을 때는 가급적 당일에 먹고 남은 부분은 작게 잘라 밀폐용기에 보관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