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에서 딱딱 소리가 나면서 머리가 아파요"
일생 동안 두통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없을 정도로 두통은 우리의 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증상이다.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두통을 호소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진통제를 끼고 살기도 한다. 그러나 두통의 원인은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복잡 다양해서 정확히 원인을 찾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두통의 원인 중에 긴장성두통이 가장 많은데 이 긴장성 두통을 야기하는 원인들 중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턱 관절 장애에서부터 비롯된다는 것이다. 또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관자놀이통증, 귀충만감, 이명, 귀통증, 어지럼증, 안면비대칭, 우울증, 수면장애 등이 병인(病因)이 턱 관절장애에 있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이렇게 다양한증상이 올수 있는 근거는 미국, 영국, 덴마크. 독일, 일본, 중국, 싱가폴, 호주 등에서 동시에 발간하는 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 (△Volume, 24 Issue 3 Page 240Issue 3 - 243 March 1997 △Volume 25 Issue 12 Page 946Issue 12 - 953 - December 1998 △volume26, Issue 5 Page 402Issue 5 - 406 - May 1999)논문에서도 보고 된 바 있다.
입을 벌리기가 어렵고 아프거나 턱을 움직일 때 귀 부근에서 "딱"하는 소리가 난다면 우선 턱관절장애를 의심해보아야 한다. 턱관절 장애는 주위의 근육 이상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경우 통증의 범위가 좀 더 광범위해지며 증상도 매우 다양해 질 수 있는데, 대부분의 환자들이 턱관절뿐만 아니라 두통, 목, 어깨통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턱 관절이라고 부르는 부위는 귀 앞쪽의 머리뼈와 턱뼈가 이어지는 부분을 말한다.
또한 관절염이 발생하면 관절이 아프고 음식을 씹거나 턱을 움직이기가 불편하며, 이로 인한 골 파괴가 심한 경우 위아래 앞니 사이가 벌어지는 전방 개교합(Open bite)까지 초래할 수 있으며. 턱 근육의 통증 때문에 입을 벌리거나 음식물을 씹는 것이 불편해지고 턱 근육의 통증이 오래 가는 경우 턱관절 통증과 함께 관자놀이, 뒷골통증, 두통이나 어지러움 귀 부근의 통증, 귀의 충만감 등으로 확산되는 경우가 많고, 심한 경우 목, 어깨의 통증이 드물지만 나타날 수도 있다.(대한 두 개하악장애 학회 www.kaop.org에서인용) 그 밖에 턱장애는 다발성관절염, 퇴행성관절염, 근긴장, 근막통증, 근염, 근 경련, 국소근통 등이 있다.
이러한 내용은 대한치과 턱관절 기능교합학회( www.occlusion.or.kr와 외국의 아래의 논문에서도 쉽게 접 할 수 있다.(△Official Journal of the Egyptian Dental Association Volume 47, Number 3.2, Jul. 2001 △ Journal of Oral Pathology & Medicine Volume 33 Issue 5 Page 305 Issue 5 - 310 - May 2004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From Risk Factors To Prevention. △The Internet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2004. Volume 3 Number 1.)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Vol 49:546, 1983)
턱 관절장애 원인은 다양하다
턱관절 장애원인은 첫째 장기간 책상,컴퓨터 앞, 운전시 목을 앞으로 쭉 빼는 습관, 목, 어깨 등의 부적절한 자세, 옆으로 또는 엎드려 자는 수면자세, 부적절한 작업 습관 등이나 둘째로 지나친 정서적, 신체적 스트레스, 셋째로 습관적으로 턱에서 "딱"하는 소리를 나게 하거나 ,이갈이, 손가락 빨기, 턱 내밀기, 턱받치기, 껌씹기, 혀를 내미는 습관, 이악물기 등이 턱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나쁜 습관들이다. 넷째로 신경 치료나 보철 치료 후 해당 부위로 씹는 것을 피하고 한쪽으로만 씹는 경우에도 턱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발치 후 보철안하고 방치해 둘 시에 치아 및 턱이 한 쪽으로 틀어질 수도 있다.( 대한구강내과학회 www.kaom.org 에서 인용) 다섯째 뒤에서 들이받는 교통사고(whiplash)시 뒷부분을 충돌하면 즉시 목이 뒤로 제쳐졌다가 앞으로 오게 되는데 이때 뒤로 밀리는 강력한 힘은 하악관절(TMJ)에 과도하게 뒤로 가는 압력을 주며 경추도 심한 신전(Over extension) & 굴곡(Over flexion)이 된다. 이때 입이 저절로 open되고 이때 순간적으로 하악이 앞으로 나왔다가 충돌이 정지하면 턱이 다시 뒤로 가면서, 입이 강제로 닫치면서 턱장애가 올수도 있다.
미국 치과의사협회(ADA(American Dental Association) 에서 발행되는 JADA (Journal of American Dental Association) JADA 1990; 120:267에 의하면 TMJ 문제의 44%-99%가 외상(Trauma)에서 온다는 통계발표가 있었다. 그래서 턱관절장애 환자들은 대부분 두통, 목, 어깨동통, 어지럼증, 귀의 충만감, 耳痛(귀가 아픈것), 귀울림 등 여러 가지 증상으로 인하여 한의사, 이비인후과, 정형외과, 신경과 의사를 찾기도 한다.
|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