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구룡마을 화재, 70대 주민 사망-건물 16개동 63가구 소실…'벌써 12번 째'

이지현 기자

기사입력 2014-11-09 23:19


구룡마을 화재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 화재가 발생해 주민 1명이 결국 사망했다.

9일 오후 1시52분께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 큰 화재가 발생해 주민 139명이 긴급 대피했다.

구룡마을 자치회와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불은 구룡마을 7B지구 내 고물상에서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인근 8지구로 번졌다.

이 불로 구룡마을 5만8080㎡ 중 900㎡와 무허가 주택 16개동 60세대가 불에 탔으며, 무허가 주택 20여 채를 태우고 1시간 40여분 만에 꺼졌다.

소방당국은 화재현장에서 7-B지역에 거주하던 주민 주모(71)씨의 시신을 발견했다. 구룡마을 주민자치회 관계자는 "화재 후 주씨 등 2명이 연락이 닿지 않았다"며 "나머지 1명도 아직 연락이 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소방당국은 추가로 시신이 발견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화재 잔해를 들춰 보며 정확한 인명피해 상황을 계속 파악하고 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소방헬기 3대를 포함해 소방장비 47대와 소방인력 220여명을 출동시켜 진화 작업을 벌였으나 큰 불길을 잡는데 애를 먹었다.

소방 관계자는 "지역(구룡마을) 특성 상 소방차 진입이 매우 곤란하고 건물 노후화와 밀집화, 미로화로 초기 진압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평소보다 바람도 강하게 불어 불길도 빠르게 번졌다"고 말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불이 7B지구내 고물상에서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는 목격자 등의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1988년 형성된 무허가 집단거주지인 구룡마을에는 판잣집과 같은 가건물 391동 1807세대가 밀집해 있으며, 거주자만도 무려 2609명에 달한다. 가옥이 밀집해 있고 전선 등이 뒤엉켜 있어 화재 위험성이 늘 존재하고 있는 구룡마을은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1999년에만 3차례에 걸쳐 불이 나 수백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기도 한 구룡마을은 2009년부터 발생한 화재는 이날 화재까지 더하면 무려 12건이나 된다. 총 8개 지구 중 화재가 반복해서 서 발생한 곳도 있다.

반면 구룡마을 주민들도 그동안 대형화재 등 안전대책 확보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해왔다. 주민자치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강남구는 구룡마을이 화재와 각종 재난에 취약한 사실을 알면서도 서울시와 구룡마을 개발방식을 두고 대립각을 세워왔다"며 "구룡마을 주민의 안전을 뒤로 한 채 강남구가 주장하는 개발방식에 따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화재 피해주민도 역시 강남구청을 신뢰하지 않는다"며 "때가 늦은 감이 있지만 더 이상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화재예방대책과 주민안전대책을 수립해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많은 네티즌들은 "구룡마을 화재 또 이런일 안생겼으면", "구룡마을 화재 결국 사망자 발생했네요", "구룡마을 화재 주민 안전대책 시급하다", "구룡마을 화재 예방대책 아직도 없었나", "구룡마을 화재 또 일어나나", "구룡마을 화재 재산피해 어쩌나"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스포츠조선닷컴>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