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에서 또 화제가 발생해 주민 1명이 사망했다.
이 불로 구룡마을 5만8080㎡ 중 900㎡와 무허가 주택 16개동 60세대가 불에 탔으며, 주민 139명은 인근 이재민 대피소가 마련된 개포중학교 강당으로 긴급 대피했다.
소방당국은 화재현장에서 7-B지역에 거주하던 주민 주모(71)씨의 시신을 발견했다. 구룡마을 주민자치회 관계자는 "화재 후 주씨 등 2명이 연락이 닿지 않았다"며 "나머지 1명도 아직 연락이 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소방당국은 추가로 시신이 발견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화재 잔해를 들춰 보며 정확한 인명피해 상황을 계속 파악하고 있다.
소방 관계자는 "지역(구룡마을) 특성 상 소방차 진입이 매우 곤란하고 건물 노후화와 밀집화, 미로화로 초기 진압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평소보다 바람도 강하게 불어 불길도 빠르게 번졌다"고 말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불이 7B지구내 고물상에서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는 목격자 등의 진술을 토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1988년 형성된 무허가 집단거주지인 구룡마을에는 판잣집과 같은 가건물 391동 1807세대가 밀집해 있으며, 거주자만도 무려 2609명에 달한다. 가옥이 밀집해 있고 전선 등이 뒤엉켜 있어 화재 위험성이 늘 존재하고 있는 구룡마을은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1999년에만 3차례에 걸쳐 불이 나 수백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기도 한 구룡마을은 2009년부터 발생한 화재는 이날 화재까지 더하면 무려 12건이나 된다. 총 8개 지구 중 화재가 반복해서 서 발생한 곳도 있다.
반면 구룡마을 주민들도 그동안 대형화재 등 안전대책 확보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해왔다. 주민자치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강남구는 구룡마을이 화재와 각종 재난에 취약한 사실을 알면서도 서울시와 구룡마을 개발방식을 두고 대립각을 세워왔다"며 "구룡마을 주민의 안전을 뒤로 한 채 강남구가 주장하는 개발방식에 따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화재 피해주민도 역시 강남구청을 신뢰하지 않는다"며 "때가 늦은 감이 있지만 더 이상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화재예방대책과 주민안전대책을 수립해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많은 네티즌들은 "구룡마을 화재 대책이 없나", "구룡마을 화재 인명피해 어쩌나", "구룡마을 화재 또? 이젠 구체적 해결책 나와야지", "구룡마을 화재 더 큰 피해없었으면", "구룡마을 화재 주민안전을 위해서라도 대책 시급하다"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