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계열 보험사에 대한 퇴직연금 일감 몰아주기 행태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현대차그룹이 지난 2011년 인수한 현대라이프생명은 퇴직연금사업자가 된 후 불과 2년 만에 90%를 계열사 물량으로 채운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그룹은 퇴직연금 몰아주기 비율이 50% 안팎 수준이었다. 그런데 전체 적립금과 계열사 적립금을 보면, 퇴직연금 사업자인 타 보험사 전체의 합계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퇴직연금 시장에서 삼성이 독보적인 1위를 점하고 있고, 시장 자체가 삼성에 상당 부분 쏠려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성그룹 계열사인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지난 6월 기준 계열사 적립금이 각각 6조 806억원, 8763억원으로 총 6조9569억원에 달한다. 이는 같은 시점 타 보험사 합계 1조 1930원의 약 6배에 달한다. 전체 적립금 또한 삼성이 14조8119억원으로 타 보험사 합계 8조 9851억원보다 높았다.
김영환 의원은 "그룹차원에서 계열 보험사를 키우기 위해 퇴직연금을 몰아주고, 보험사는 땅 짚고 헤엄치기 식으로 몸집을 불려가고 있다. 금융당국의 간접규제와 업계 자율결의도 무색할 지경"이라며, "퇴직연금 몰아주기과정에서 그룹의 일반 직원인 실제 퇴직연금 가입자들에게 불리한 계약이 체결되지는 않았는지, 부당내부거래 소지는 없었는지 등을 금융당국과 공정위가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전체 시장의 균형을 위해서 특정 대기업 쏠림 현상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