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구직자 2명 중 1명은 전공과 무관하게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 무관하게 구직활동을 하는 이유로는 '전공 관련 채용이 너무 없어서'(43.8%,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선택했다. 계속해서 '전공이 적성과 맞지 않아서'(29.6%), '취업 성공이 가장 중요해서'(21.4%), '따로 하고 싶은 일이 있어서'(17.6%), '심도 있는 전공 지식을 갖추지 못해서'(17.1%), '연봉 등 다른 조건이 더 중요해서'(16.2%)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이들은 지원할 기업을 선택할 때 전공보다는 '연봉'(46.4%, 복수응답), '근무환경'(46.1%), '복리후생'(44.5%), '직업 안정성'(42.9%) 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는 '학과 취업률이 낮아서'(37.8%,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생각했던 것과 달라서'(35.7%), '적성과 맞지 않아서'(32.4%), '기업이 선호하지 않는 학과라서'(32%), '현실과 동떨어진 내용이라서'(20%) 등의 이유를 들었다. 한편, 대졸 이상 신입 구직자들은 '공학계열'(52.5%)이 취업에 가장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가장 불리하다고 생각하는 전공으로는 '인문계열'(47%)을 꼽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