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26일부터 이틀에 걸쳐 국민, 하나, 우리, 신한은행 등 시중 4대 은행에 각각 6명의 조사관을 보내, 여·수신 금 전반에 대한 담합조사를 벌이고 있다. 공정위 조사관들은 은행의 전반적인 금리체계 조정을 맡는 자금부와 개인고객에 대한 대출금리, 수신금리 조정 등을 맡고 있는 개인금융부를 중점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은행 직원들을 면담한 후 관련 서류를 확보한 후 담당자들이 메일, PC 메신저 등을 통해 다른 은행 담당자들과 대출·예금금리와 관련돼 쪽지 등의 연락을 주고받았는지를 조사했다.
이에 대해 금융권에서는 은행들의 코픽스, CD금리 등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시작했고, 정부가 은행들의 '금융 보신주의'에 대해 강한 압박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를 결정했음에도 은행들이 예금금리는 대폭 내리고 대출금리는 찔끔 내리자 정부가 조사를 벌인다는 분석도 있다.
한 금융권 인사는 "공정위 조사가 진행된다는 것만으로도 은행들은 모두 초긴장 상태가 됐다"며 "꼭 금리 담합 조사가 아니더라도 정부의 여러가지 목적을 지닌 조사가 아닌가 판단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