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4곳 중 1곳은 지원자들이 갖춘 스펙이 요구수준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채용 평가 시 스펙을 중점적으로 보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다수인 81.9%가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스펙만으로 검증 못하는 게 있어서'(49.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인재상 부합 등 다른 기준이 중요해서'(37.3%), '고스펙자를 뽑아도 이탈 등 손해가 커서'(22.7%), '스펙의 변별력이 떨어져서'(17.8%), '어차피 스펙 외 요소로 당락이 결정되어서'(16.8%), '스펙은 취업을 위해서만 갖춘 것 같아서'(12.4%) 등의 이유가 있었다.
스펙 대신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는 '책임감, 원만함 등 인성적 요소'(71.9%,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직무 지식 또는 수행 능력'(49.7%)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 '입사의지 등 조직 관련 태도'(37.8%), '사교력, 포용력 등 사회성'(27%), '풍부한 지식과 경험 보유'(24.3%), '창의, 혁신적 사고력'(22.7%), '잠재력, 성장성'(21.1%) 등의 순이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