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 www.hanafn.com)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소장 배현기 www.hanaif.re.kr)는 '2014년 하반기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경제가 3.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정부(3.9%, 신기준 적용시 4.1%), 한국은행(4.0%), KDI(3.7%) 등의 전망치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 내수부진과 저성장 고착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질 전망
하나금융경영
수출은 선진국에 대한 내구재 수출과 신흥국에 대한 기계류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며, 수입도 자본재 및 소비재 수입이 증가하면서 회복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물가는 총수요 여건 개선 등으로 물가수준의 상승이 예상되지만 원화 강세기조, 국내 내수부진, 기대 인플레이션 안정 등으로 2%에 미치지 못하는 저물가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 시중금리 박스권 장세 예상, 원/달러 환율의 900원대 진입은 어려울 전망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내수부진과 수요측 물가압력 제한 등으로 한국은행이 상당기간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시중금리도 기준금리 동결 기조 장기화와 국내 경기회복세 둔화 등으로 상반기와 비슷한 박스권 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김완중 연구위원은 "대내외 경기가 기존 예상경로에서 벗어나 성장률 전망이 하향 조정될 경우 시중금리가 전구간에서 하향 조정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은 달러화 공급우위 환경 지속과 원화의 準안전통화 부각 등으로 하반기에도 하락압력이 이어질 전망이지만, 외환당국의 개입 경계심과 환율 쏠림현상에 대한 부담, 원/달러 환율의 중장기적 균형수준 등을 감안할 때 하반기에 세 자리대에 안착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장보형 연구위원은 "QE 종료 및 출구전략 우려 등으로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재연될 경우 원/달러 환율이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경제는 2008년 이후 가장 불확실성이 적은 시기를 보내겠지만, 이는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美 연준의 출구전략(tightening)을 앞둔 평온함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면서, 내년부터 진행될 연준發 유동성 조절에 대비하고 저금리 환경으로부터의 이별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김영준 연구위원은 "800억 달러를 상회하는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와 1%대의 저물가 장기화는 내수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국내경제의 어두운 그림자"라고 밝히며, 확장적 재정 및 통화정책 기조 유지로 총수요가 회복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가계부채 구조조정(de-leveraging)과 투자활성화 대책 등을 통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의 회복을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