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7일, 강원도 봉평장이 시끌시끌했다. 시장 한가운데 차량부스 앞에는 아이들이 몰려 상인의 얼굴이 새겨진 스탬프를 종이봉투에 찍으며 신기해하고, 새단장한 쉼터에는 삼삼오오 모인 가족들이 시장에서 산 먹거리를 먹으며 담소를 나누고, 시장 골목골목에는 물건을 사고 구경하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현대카드는 전통시장 고유의 모습과 메밀꽃을 모티브로 한 소설 등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지만, 강원도 타 전통시장에 비해 활성화 되지 않은 봉평장을 우선대상으로 선정,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봉평장에는 대를 이어 장터를 지키고 있는 상회, 60년째 이불가게를 하고 있는 상인 등 전통시장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상인들의 이야기들이 있다. 이런 이야기를 담은 문구와 함께 상인의 실제 사진과 연락처를 넣은 간판과 명함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친근함과 동시에 신뢰를 주고, 문구를 통해 저마다의 개성을 표현하면서 가게를 홍보할 수 있게 했다.
시장의 내부를 정돈해 이동에 방해되거나 불편했던 사항들을 하나씩 해결했다. 상품별 특성과 손님의 눈높이에 맞게 매대를 디자인해 손님들이 한눈에 상품을 보고 고를 수 있게 하고, 천막은 판매하는 품목의 종류(농산물, 수산물, 먹거리, 의류, 잡화)에 따라 상품이 돋보일 수 있고, 쉽게 식별가능한 5가지 색상으로 나눠 제작했다.
또, 원산지와 가격을 표기할 수 있는 정보판을 제공하고 봉평장 로고를 새긴 스티커를 상품에 부착해 믿을 수 있는 상품을 살 수 있다는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휴식 및 교류의 공간이 부족한 부분도 해결했다. 봉평장 공터에 '소풍'을 컨셉으로 한 쉼터를 만들어 구입한 먹거리를 편히 쉬면서 담소도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시장 한가운데에는 선물을 구입하고 안내데스크 기능을 하는 차량부스를 배치했다.
강원도는 '지키는 개발'에 중점을 둔 봉평장을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의 기준으로 삼아 50개가 넘는 도내 전통시장에도 확대 적용 예정이다. 현대카드는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 매뉴얼북을 제작 배포해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할 예정이다.
현대카드의 사회공헌은 도움이 필요한 분들을 목적지에 바로 데려다 주는 것이 아니라 목적지로 향하는 지름길과 방법을 함께 나누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도 자발적으로 생각을 바꾸고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상인들과 함께 변화를 시도했다.
전통시장을 바꾸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속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키기 위한 개발'을 한 이번 프로젝트가 잊혀져 가는 전통시장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