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인 다이빙벨 철수'
이 대표는 "다이빙벨이 수심 23m에서 설치돼 잠수사 2명이 50분가량(각 25분, 20분) 수색을 했다"고 설명했다.
철수 이유에 대해 이 대표는 "우리가 나타나서 공을 세웠을 때 기존 수색세력들 사기가 저하된다는 생각에 (철수를)결심했다"며 "실종자 수색작업은 지금 계속 하시는 분들이 조금 더 사람을 늘린다든지 하는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구조작업 투입을 두고 수차례 갈등을 빚었던 해경 등엔 "마무리 작업 잘 해주시고 그동안 분란 일으켜 죄송하다"고 밝혔다.
고명석 범정부사고대책본부 대변인은 다이빙벨 철수에 대해 "다이빙벨 투입 계획도, 뺀 것도 본인(이종인 대표) 의사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가족이 원하고 이 대표가 원하면 앞으로도 투입 계획은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민관군 합동구조팀은 다이빙벨의 실효성과 안전성 등을 들며 투입에 부정적 입장을 견지해왔다.
다이빙벨은 잠수부들이 오랜 시간 물속에 머물며 사고현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해난구조지원 장비다. 마치 종(鐘)처럼 생겼다 해서 다이빙벨로 이름 붙여졌다.
한편, 이종인 다이빙벨 철수 소식에 누리꾼들은 "이종인 다이빙벨 철수, 다이빙벨 믿었었는데", "이종인 다이빙벨 철수, 앞으로 계속 투입해보면 안되나?", "이종인 다이빙벨 철수, 자진철수 했다고?", "이종인 다이빙벨 철수, 그동안 논란이 너무 많았어"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