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윤상직 장관 "정상화 부실 기관장 8월까지 해법내라"

최만식 기자

기사입력 2014-01-27 14:50 | 최종수정 2014-01-27 14:50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공기업 정상화를 위해 사실상 최후 통첩 수순에 들어갔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재무 구조상 근본적인 문제를 가진 일부 공기업 사장에게 1차로 8월 말까지 직을 걸고 해결책을 내놓을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날 "산하 공기업 대부분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만 몇몇 공기업은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들 공기업의 개혁에 대해서는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장관은 지난 9∼12일 산하 11개 에너지 공기업의 경영 정상화 계획을 점검하면서 미흡한 것으로 판단한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남동·중부·남부발전 등 5개사 사장을 불러 계획안을 다시 확인한 바 있다.

산업부는 과거 문어발식 투자를 한 뒤 이를 유지하고자 밑 빠진 독에 물붓는 식으로 계속 예산을 퍼붓는 일부 공기업의 행태를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그동안 강하게 내비쳐왔다.

윤 장관은 "부채와 방만 경영은 서로 연결돼 있다. 이 부분이 무섭다"며 "자기의 역량보다 훨씬 많은 해외사업을 보유한 것도 일종의 방만 경영"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지금까지 양적 성장을 했으면 질적 성장을 위해 비핵심 사업, 경제성이 떨어지는 사업은 정리하는 게 맞다"면서 "이를 위해 노사가 위기의식을 갖고 특단의 조처를 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특히 "작년 말 경영 정상화에 대한 실천의지가 없으면 알아서 물러나라고 했다"는 말을 다시 떠올린 윤 장관은 "8월 말까지 해결책을 내놓지 않을 경우 (기관장 해임)의견서를 제출하겠다"며 사실상 최후통첩을 시사했다.

한편, 윤 장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인도 순방 당시 합의된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협정(CEPA) 개정 협상을 추진하기 위해 오는 3월 양국 통상장관 회담을 여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