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공기업 정상화를 위해 사실상 최후 통첩 수순에 들어갔다.
윤 장관은 이날 "산하 공기업 대부분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만 몇몇 공기업은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들 공기업의 개혁에 대해서는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장관은 지난 9∼12일 산하 11개 에너지 공기업의 경영 정상화 계획을 점검하면서 미흡한 것으로 판단한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남동·중부·남부발전 등 5개사 사장을 불러 계획안을 다시 확인한 바 있다.
산업부는 과거 문어발식 투자를 한 뒤 이를 유지하고자 밑 빠진 독에 물붓는 식으로 계속 예산을 퍼붓는 일부 공기업의 행태를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그동안 강하게 내비쳐왔다.
이어 그는 "지금까지 양적 성장을 했으면 질적 성장을 위해 비핵심 사업, 경제성이 떨어지는 사업은 정리하는 게 맞다"면서 "이를 위해 노사가 위기의식을 갖고 특단의 조처를 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특히 "작년 말 경영 정상화에 대한 실천의지가 없으면 알아서 물러나라고 했다"는 말을 다시 떠올린 윤 장관은 "8월 말까지 해결책을 내놓지 않을 경우 (기관장 해임)의견서를 제출하겠다"며 사실상 최후통첩을 시사했다.
한편, 윤 장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인도 순방 당시 합의된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협정(CEPA) 개정 협상을 추진하기 위해 오는 3월 양국 통상장관 회담을 여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