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겨울에 찾아오는 고통, 치질!

송진현 기자

기사입력 2014-01-27 11:08


치질은 '겨울 치질'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겨울에 많이 발생한다.

전문의들은 겨울 치질이 증가하는 이유로 몇 가지를 꼽는데, 그 중의 대표적인 것이 급격히 낮아진 기온과 연말연시 술자리이다. 일부 연예인들이 항문질환을 앓았다는 것이 방송에 나오면서 사람들의 인식은 많이 나아졌지만, 여전히 쉬쉬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부끄럽다는 이유로, 참을 만하다는 이유로 병원에 가는 것을 미룬다.

2013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치질 환자 수는 85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나 주변에서 치질 환자를 보기는 어렵다. 그 이유는 치질이 '항문' 질환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더럽다고 생각하는 항문에 생기므로 사람들은 병을 숨긴다. 또 의사에게 보이는 것을 부끄러워해 버티다가 심각한 상태가 되어서야 병원에 간다.

보통 치질이라고 부르는 명칭은 정확히는 항문의 모든 질환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치질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는 치핵, 치열, 치루 등을 들 수 있다. '치핵'은 항문 안쪽 혈관들이 울혈돼 늘어나거나 항문 바깥쪽 불필요한 조직 등이 늘어나서 생기며 항문질환의 50%~60%를 차지하는 질병이다. 이 외에 항문이 찢어지는 '치열'이 약 20%를 차지하고, 항문이 곪아서 고름이 터지는 '치루'가 15%~20%다.

치핵은 증상에 따라 1~4기로 구분된다. 변을 볼 때 출혈이 있고 항문에 돌출되는 것이 없다면 1기, 배변 시 치핵이 약간 돌출됐다가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상태는 2기, 돌출된 치핵을 손으로 밀어 넣어야 들어가는 시기는 3기, 손으로 밀어도 들어가지 않거나 다시 나오는 상태가 4기이다.

만약 변을 볼 때 항문 부위에 껄끄러운 느낌이 들고 항문 안의 피부가 조금 나온 듯하며 선홍색의 피가 대변이나 휴지에 묻어 난다면 치질 초기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초기 증상이 더 악화되면 치핵을 손으로 밀어 넣어야 들어가는 상황이 되고, 변을 볼 때 항문 안쪽으로 찢어지면서 통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치핵은 초기에 치료하면 수술 없이 생활습관 개선으로 쉽게 나을 수 있지만, 2~3기부터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귀찮고 창피하다고 병을 숨기다가는 큰 수술을 받게 될지 모른다.

최근 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환자 중 대장항문전문병원에 오기까지 시간은 10년 이상이 약 39%로 그만큼 병을 키운 뒤에야 병원에 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많은 직장인은 차가운 장소와 딱딱한 의자는 피하고, 가끔 자리에서 일어나 움직여주는 것이 좋다. 피로와 스트레스, 수면부족 등도 몸 안의 면역기능 저하와 함께 혈액순환 장애를 일으켜 항문 조직 내 울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조심하는 것이 좋다.


서울송도병원 이종균 박사는 "치질 예방을 위해서는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변기에 10분 이상 앉아 있지 않는 배변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통증이 있을 때를 기다리지 말고 배변 시 항문에서 피가 나거나 튀어나오는 것이 있다면 적극 진료를 받아보고 치핵의 심한 정도에 따라 수술을 포함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33년간 대장·항문 질환 치료의 한 길을 걸어온 서울송도병원은 2011년 보건복지부 지정 대장항문 전문병원으로 지정된 바 있으며 최근 변비, 변실금, 난치성치루, 직장ㆍ항문통 클리닉을 신설하여 중점 진료를 시작하였다.
[소비자인사이트/스포츠조선]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