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의 여러 가지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일이다. 쌀쌀하고 건조한 기후가 되면 땀 분비를 줄이고 피지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체온조절을 하는 것이 정상적인 피부의 역할이다. 그러나 건선환자인 경우 피부의 정상적인 조절능력이 정상인보다 떨어져 있기 때문에 피부가 기후의 변화에 미처 적응하기도 전에 건선이 먼저 악화되기 십상이다. 환절기에 악화되기 쉬운 건선에 대하여 어떻게 관리하고 치료하는 것이 좋은지 YK박윤기피부과 박윤기 원장의 도움으로 알아보자.
우리나라의 특성상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실내온도가 높고 목욕 시 때(각질)를 미는 습관 등 피부건조를 유발하는 경향이 많다. 피부의 건조가 지속되면 염증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염증이 건선을 더욱 악화시킨다. 따라서 가급적 실내온도를 낮추며 목욕하는 시간을 줄이고 자극성 없는 보습제를 꾸준히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피부의 압박, 마찰도 건선을 악화시키는 요인
감기, 스트레스로 인한 건선악화에 조심하자
감기와 스트레스도 건선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조울증 등의 치료에 쓰이는 리튬, 감기 치료에 쓰는 진통소염제등을 복용하게 되면 건선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박윤기 원장은 건선환자들이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는 악화 요인들을 설명하며 "편도선염이나 감기가 걸린 후 피부에 작은 물방울 형태로 붉은 반점이 나타나거나 전신에 발생한다면 물방울건선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물방울건선은 작은 원모양으로 붉은 반진과 하얀 각질을 동반하는 형태인데 물방울건선은 다른 건선에 비해 치료반응이 좋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비타민D약물과 단파장 자외선 치료를 병행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단파장 자외선 치료는 건선이 발생한 부위에 자외선B파장을 조사하며 주 2회 간격으로 7~10회 정도 치료받으면 호전되고, 이후 주 1회씩 2~4개월간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를 꾸준히 받는 것이 좋다." 라고 전했다.
개원 후 보다 많은 건선환자들을 접하기 위해 건선 환우 커뮤니티로 알려져 있는 "눈사람"을 통해 무료 상담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박원장은 1982년 하버드 의대에서 피부과 연수를 마치고 국내 처음으로 건선과 백반증에 대한 광선치료를 시작했으며 14대 김영삼 전 대통령과 15대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과 그 가족들의 피부과 진료를 담당한 주치의 출신으로 잘 알려져 있다.
[소비자인사이트/스포츠조선]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