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LG유플러스 골목상권 침해 논란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3-09-04 17:25



◇◇KG모빌리언스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단가후려치기, 덤핑 등으로 가맹점 모집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LG유플러스의 제안서 중 일부. <KG모빌리언스 제공>



대기업의 무분별한 사업영역 확장에 중소기업이 몸살을 앓고 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교묘히 피해 이뤄진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지역 상인들을 위주로 운영되던 병원 지하상가 장악, 웨딩 사업 진출을 시작으로 최근 중견기업의 영역으로 불려왔던 결제대행(PG)업계까지 영역 확장에 나섰다.

대기업이 뛰어드는 사업군이 단가 낮추기에 대항할 힘이 없는 위치의 업체가 다수 포진되어 있다는 점에서 생존까지 위협받고 있다는 게 해당 업종 관계자들의 말이다.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곳은 PG업계다. KG모빌리언스는 지난달 28일 청와대와 동반성장위원회에 'LG유플러스가 시장을 침범, 질서를 흐리고 있다'는 호소문을 전달,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PG란 이동통신3사의 결제대행 업무를 담당하는 사업군을 뜻한다. IT벤처기업 들의 아이디어와 특허로 서비스를 시작, 대기업-중소기업 상생 사업영역으로 꼽히던 곳이다. 벤처기업의 아이디어와 대기업의 협력이 만들어 낸 IT영역의 '상생사업' 아이콘이란 얘기다.

KG모빌리언스가 청와대와 동반성장위원회에 전달한 호소문은 LG유플러스가 이동통신사라는 사업 특성을 내세워 단가 낮추기에 나서고 있고, 계속 될 경우 중견 PG업체들은 고사할 수밖에 없다는 게 골자다.

PG업체의 수익 구조를 보면 이해가 쉽다. PG업체는 소액결제 관련, 통신사가 맡고 있는 이용대금 청구 및 수업대행 업무 외에 가맹점 영업과 정산 업무를 담당하며 발생하는 결제 수수료가 매출이 된다. 매출 중 통신사가 고객에게 청구하고 수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정 금액(원가)을 제외한 부분이 수익이다.

원가를 조절하는 통신업체가 사업에 직접 참여 하게 되면 가격경쟁력 면에서 PG업체가 경쟁을 하기에는 힘든 구조다.


일례로 통신사의 가격 낮추기에 동참하지 않을 경우 가격경쟁력에서 밀린 PG업체의 수익은 꾸준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 또 가격 낮추기에 동참할 경우 원가보다 낮은 수익으로 역마진이 발생한다. PG입장에선 어떤 방식을 취하든 생존 자체가 힘들어진다. LG유플러스의 PG사업진출에 업계가 반발하는 이유다.

KG모빌리언스 관계자는 "과거에 중소·벤처기업들이 특허를 가지고 영업해 온 시장에 원가수수료 정책을 결정하는 원천사업자가 타 통신사인 SKT나 KT 가입자 커버리지를 위해 중소기업인 PG의 재판매 형태로 사업을 하고 있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가 휴대폰결제 외에도 신용카드 결제, 계좌이체, 가상계좌, IDC, SMS, 인터넷전화, 인터넷 회선 등 보유하고 있는 상품군을 활용해 결합상품(Package) 형태로 가맹점 영업을 하고 있고 덤핑으로 제공하면서 시장 가격질서를 파괴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LG유플러스는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호소문의 내용 중 사실과 맞는 게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KG모빌리언스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저가 수수료 영업과 저가 덤핑으로 가맹점 영업을 한 적이 없다"고 날선 감정을 내비쳤다. 그는 오히려 "최근 KG모빌리언스가 독점해온 이베이 결제시스템 입찰에서 함께 사업을 하게 된 상황에서 골목상권을 침해한 듯 보이게 하려는 의도"라며 "1997년부터 사업을 해왔던 만큼 상생에 어긋나는 일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KG모빌리언스는 LG유플러스의 주장은 궤변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KG모빌리언스 관계자는 "LG유플러스가 가맹점에 직접 영업을 하는 식으로 뿌린 공문이 있다(사진 참조)"며 "1997년 사업은 LG유플러스 통합전인 데이콤이 벌였던 반면 합병 이후 같은 회사 내에서 사업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 LG유플러스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PG들을 통해서 벌어들인 (수수료) 수익으로 오히려 해당 시장을 역공하는 재벌대기업의 역설적이고 부도덕한 행위"라면서 "새정부 핵심 국정기조인 협력적 기업생태계를 훼손하고 경제민주화를 역행하며 창조경제와 동반성장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인사이트/스포츠조선=김세형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