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여름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바캉스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보기 좋은 몸매를 만들기 위해 소위 폭풍다이어트 돌입한다. 하지만 단기에 많은 체중을 감량 할 경우'간'에 치명타가 될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내과 이향림 과장은 "'간'은 전체의 80% 이상 손상 되도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침묵의 장기'라 불린다. 주로 우리 몸의 화학 공장 역할을 하며, 대사조절, 혈액조절, 쓸개즙 생성 등을 담당한다"며 "과묵한 성격 탓에 좀처럼 아픈 내색을 하지 않지만, 한번 상처를 받으면 쉽게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간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일은 삼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간에 무리를 주는 것은 폭풍다이어트 뿐만이 아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이러스에 의한 간염이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A. B . C .D .E ) 형으로 나뉜다. 간염 바이러스가 몸 안에 침입하면 간에 지하당을 만들고 번식한 후 간세포를 파괴시키고, 궁극에는 간 기능 손상을 초래한다. 모든 간염바이러스가 만성 간질환을 일으키지는 않고 B, C, D형만 만성 간질환을 일으킨다. 이중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한국 성인의 7%정도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이다. C형은 1%정도가 보유자인 데 D형은 다행히 우리나라에선 찾기 어렵다.
A형과 B형 간염은 간염백신이 나와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 가능 하며, C형간염의 경우 별도의 백신이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 관리를 통해 감염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간 건강을 위해서는 불필요한 약은 오히려 간에 해로울 수 있으니 삼가야 한다. 양약뿐 아니라 각종 건강 보조식품과 생약 등도 간염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 또한 지나친 음주는 간질환을 쉽게 유발하기 때문에 가급적 절제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나성률 기자 nas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