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주부인 신 모씨(43)는 젊게 보이는 스타일링을 즐긴다.신발도 컴포트 슈즈나 운동화보다는 6~8cm의 하이힐을 자주 신는다. 두 달 전부터 체중감량을 목표로 지하철 한두 정거장 전에 내려서 매일 걷기 시작했다. 그런데 갑자기 발꿈치 부분에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파스를 붙이니 조금 나아지던 통증은 걷기 운동을 할수록 점점 심해졌다. 결국 병원을 찾은 신씨는 '족저근막염'이란 진단을 받았다.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의 두꺼운 막인 족저근막이 붓고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발뒤꿈치 통증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무리해서 오래 걷기, 오래 서 있기,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 하이힐 착용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족저근막염이 생기면 아침에 첫발을 내디딜 때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걷다 보면 통증이 서서히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통증은 주로 발꿈치 안쪽에서 발생하며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구부리면 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족저근막염 초기에는 소염진통제와 운동 등의 보조요법으로 95% 이상 치료가 가능하다. 치료 시기를 놓쳐 만성이 되면 외부의 충격파 에너지를 이용해 통증을 감소시키고 세포재생을 촉진하는 체외충격파시술이 효과적이다.
굽이 낮은 신발이라고 해서 무조건 발 건강에 이로운 것은 아니다. 도현우 원장은 "지나치게 낮고 쿠션감이 없는 플랫슈즈도 족저근막염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발 건강을 생각한 신발 굽의 높이는 2~4cm가 적당하다"며 "하이힐을 포기할 수 없다면 가느다란 굽보다 몸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주는 통굽을 선택하면 좋고, 일주일에 5시간 이상 신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임정식 기자 dad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