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수은 수입량 연 10.2톤...체온계-혈압계 통해 359kg 유입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13-04-05 15:18


우리나라의 한해 수은 총 수입량이 10.2톤이며 수은 체온계와 혈압계를 통한 유입량도 359kg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2012년 실시한 '국내 수은함유제품의 유통 및 배출현황 기초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미나마타 수은협약'에 의해 2020년부터 수은 사용량이 많은 특정 제품군들의 생산과 수출입이 금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대책 마련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1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는 10.2톤의 금속 수은을 수입해 형광등과 LCD용 램프 제조에 7.3톤, 치과 아말감용으로 1톤, 압력계 등의 계측기기 제조에 0.8톤을 사용했다.

수은 체온계와 혈압계는 전량 수입되고 있으며, 2011년 각각 19만여대와 2500대가 국내에서 유통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제품에는 약 1.2g, 47g의 수은이 각각 함유돼 있어, 2011년 한 해 동안 체온계로 237kg, 혈압계로 122kg의 수은이 국내에 유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별도의 폐기 지침이 없어 체온계는 대부분 의료용 폐기물과 함께 소각되고 혈압계는 일부 수거업체를 통해 폐기하거나 자체 보관하는 사례가 많았다.

또한, 과학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생산하는 원통형 전지는 무수은 제품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모든 버튼형 전지에는 수은이 함유돼 있다.


반면, 알칼라인과 산화은 버튼형 전지는 전량 수입해 유통되며, 보청기 등에 사용되는 공기아연 전지만 국내에서 일부 제조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전지의 수은 함량을 분석한 결과로는 국내기준(1mg/kg 미만)을 초과하지 않았지만 알카라인, 산화은, 공기아연 버튼형 전지에서 최소 0.093%, 최대 0.852%의 수은이 검출됐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수은협약에 대비해 수은함유제품의 생산 및 수출입 규제 도입과 함께 대체품 보급을 활성화하고 적정 폐기를 위한 수거 시스템을 조기에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해 연내에 수은관리 종합대책을 재수립하고, 2015년까지 관련법 등 협약 이행체제를 조기에 구축해 국내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인사이트/스포츠조선] 장종호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