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아, 허리통증…' 디스크 아닌 고관절이 문제라고?

임정식 기자

기사입력 2012-08-28 12:21


직장인들 중에는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단순한 허리통증이라고 수수방관하다가는 제대로 걷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허리통증은 허리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고관절, 즉 엉덩이 관절 질환일 가능성도 높다.

웰튼병원 송상호 원장은 "고관절 질환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아서 환자들이 처음부터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일이 많다"며 "내원 환자들을 보면 대부분 엉덩이뼈 통증이 있을 때 디스크 질환이라고 판단하고 허리 치료를 받다가 고관절 질환이 한참 진행된 후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고관절은 절구 모양의 골반 골과 공 모양의 둥근 넙다리뼈머리로 이뤄진 관절로, 흔히 '엉덩이 관절'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걷고 달리는 모든 활동을 가능하게 해 주는 중요한 신체 부위다. 하지만 정작 고관절 질환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해 조기에 치료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고관절 질환 다수가 30~50대 직장인

직장인 김민관 씨(35)는 최근 몇 달 간 점심 식사를 거르고 있다. 허리통증 때문에 걸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디스크 문제인 것 같아 물리치료까지 받고 있지만 통증이 더 심해지고 가만히 앉아 있는 것조차 힘들어졌다. 결국 병원 몇 군데를 전전한 끝에 고관절 질환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들었다. 현재 김 씨는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4기'로 인공고관절수술을 앞두고 있다.

고관절 질환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9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집계에 따르면, 국내 고관절 수술건수는 4년 새 약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층의 고관절 환자가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실제로 웰튼병원에서 지난 2년간 인공고관절수술을 받은 환자 중 노인성 골절 환자를 제외하고, 30~60대 인공고관절수술 환자 비율이 전체의 86%를 차지했다.

고관절 질환의 종류는 퇴행성 고관절염, 활액막염 및 점액낭염,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등이 대표적이다.

이 중에서 대퇴골두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뼈가 괴사하는 대퇴골두 무혈성괴사는 전체 고관절 질환 환자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30~50대 남성들에게 주로 나타난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원인은 과도한 음주나 스테로이드 과다 복용, 골절 등의 외상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허리통증으로 오인해 방치하기 쉬워

주로 사무실에 앉아 있는 직장인들은 허리통증을 잘못된 자세의 문제로 치부하는 경우가 많다. 또 바쁘다 보니 정확한 진료를 받을 시간 내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어깨 관절 다음으로 운동 범위가 큰 고관절은 우리가 움직이는 신체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걷거나 움직일 때 체중을 지탱해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달리거나 격한 운동 시 체중의 10배가 되는 하중을 견딘다.

문제는 고관절 질환의 통증이 엉치, 허벅지, 사타구니 등 다양한 부위에서 느껴지기 때문에 허리 질환으로 오인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그래서 척추 치료를 하다 나중에서야 발견해 조기에 치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송 원장은 "고관절은 두꺼운 인대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무릎 등 다른 관절보다 쉽게 나빠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 무릎 관절에 비해 발병 비율도 약 25% 정도로 낮은 편이지만 일단 발병하면 잘 낫지 않고 수술적 치료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최소절개' 고관절 수술로 일상 복귀 빨라

고관절 질환이 심한 경우에는 인공관절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인공관절수술이란 망가진 관절 부위를 제거하고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적 치료법이다.

고관절 질환 중 다수를 차지하는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초기 단계에는 약물치료 또는 뼈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혈액순환을 돕는 '다발성 천공술'로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괴사 부위가 넓고 이미 뼈가 주저앉은 상태라면 인공관절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최소절개 인공관절수술을 통해 환자들의 일상 복귀가 빨라지고 탈구 등의 부작용도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 과거에는 수술 시 절개 부위가 20cm 이상이었다면 최소절개술은 절개 부위가 8~10cm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 또 절개 시 근육과 힘줄을 끊지 않고 외회전근을 젖혀 수술하기 때문에 회복이 빠르다. 일반적으로 2주 가량 지나면 퇴원해 무리 없는 생활이 가능하다.임정식 기자 dada@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