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진회 기자] KPGA지회는 지난 8월 2일부터 국내 프로스포츠 단체 최초로 파업에 돌입해 101일간의 투쟁을 이어왔다. KPGA지회는 11월 11일자로 파업을 임시적으로 멈추고 업무에 복귀한다. 이는 파업의 전면 철회는 아니며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기 위한 잠정적인 파업 중단이다.
경영진은 결국 보복인사 조치한 A직원과 다른 B직원에게 '협박 및 책임전가'를 행하다는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으로부터 혐의가 인정되고 개선 조치를 권고받았다. 그러나 이를 전면 부정하고 고용노동부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했다. 결국 KPGA 내 부조리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도마 위에 올랐으며, 경영진의 비상식적인 행위에 대해 질타받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번 잠정복귀는 노사 합의가 이루어진 상황에서 진행되는 '파업 종료'가 아니라는 것이 KPGA지회의 설명. KPGA지회는 국정감사의 후속 조치로서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에 적극적인 협조를 위한 임시적 복귀일 뿐이라고 밝혔다. 추후 협회 정상화가 신속히 이행되지 않는다면 KPGA지회는 곧바로 '2차 전면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PGA의 상식적인 운영과 발전을 위해서 조합원들은 큰 고통을 겪었음에도 파업의 길을 선택했다.
KPGA지회는 각종 사태 해결을 위해 협회장에게 직접 해결을 수차례 촉구하였지만 협회장과 경영진은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김진회 기자 manu35@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