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카타르 ON]막 내린 조별리그 키워드는 '평준화', 3전승팀이 없다

박찬준 기자

기사입력 2022-12-03 07:29 | 최종수정 2022-12-03 12:24


3일(한국시각) 카타르 도하 알라이얀의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서 한국과 포르투갈의 경기가 열렸다. 한국이 포르투갈에 승리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승리의 기쁨을 나누고 있는 선수들. 알라이얀(카타르)=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2.12.03/

[도하(카타르)=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2022년 카타르월드컵, 조별리그가 마무리됐다.

키워드는 '평준화'다. 3전승을 거둔 팀이 단 한 팀도 나오지 않았다. A조의 네덜란드, B조의 잉글랜드, G조의 모로코가 2승1무, 무패 조 1위로 올라선 것이 가장 좋은 성적이었다. 우승후보로 평가받은 팀들도 다 1패씩을 안았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프랑스, 포르투갈은 모두 2승1패로 조별리그를 마쳤다.

그만큼 이변이 속출했다. 특히 아시아팀들의 강세가 돋보였다. 역대 최다인 무려 7승을 챙겼다. 잡은 팀들의 면면을 보면 더욱 대단하다. 한국이 포르투갈을, 일본이 독일, 스페인을, 사우디 아라비아가 아르헨티나를 잡았다. 모두 세계 최강국으로 평가받는 팀들이다. 아시아는 역대 최다인 3팀을 16강으로 보냈다. 일본은 아시아 최초로 두 대회 연속 16강에 올랐다.


2일 오전 4시(한국시간) 카타르 도하 칼리파 인터내셔널스타디움에서 스페인과 일본의 경기가 열렸다. 일본이 스페인에 2-1로 승리했다. 경기 종료 후 승리를 기쁨을 나누고 있는 일본 선수들. 도하(카타르)=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2.12.02/
16강 대진을 보면 얼마나 평준화가 두드러지는지 알 수 있다. 세계 축구를 양분하고 있는 유럽과 남미가 10개팀 밖에 되지 않는다. 아시아가 3팀, 아프리카가 2팀, 북중미가 1팀씩 16강에 올랐다. 지난 대회에서 단 한 팀도 16강에 보내지 못했던 아프리카의 약진도 돋보인다. 지난 대회에서 16강에 오른 비유럽-남미팀은 2팀에 불과했다. 그만큼 축구 변방들의 활약이 돋보인다. 오토 아도 가나 감독은 "아프리카에 더 많은 티켓이 필요하다"고 했다.

역시 사상 첫 겨울월드컵의 여파가 커보인다. '열사의 땅' 중동에서 개최된 이번 카타르 대회는 무더위를 피해 사상 처음으로 11월에 열렸다. 유럽이 한창 시즌 중인 때다. 선수들의 컨디션, 몸상태가 정상이 아니었다. 통상적으로 3주 정도의 준비 시간을 줬던 과거와 달리, 이번에는 단 일주일 밖에 훈련할 시간이 없었다. 그만큼 '팀'으로 준비할 시간도 짧았다. 축구 강국들이 부진한 이유다.

16강에서는 또 어떤 스토리가 쓰여질지. 확실한 것은 이제부터는 누가 이겨도 이상하지 않은 토너먼트라는 점이다.


도하(카타르)=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