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일정 축소 불가피한 K리그, 스플릿 시스템 유지 가능한가

이원만 기자

기사입력 2020-03-03 05:58


전주월드컵경기장/ K리그1/ 전북현대모터스 vs 수원삼성블루윙즈/ 전북 손준호, 수원 민상기/ 사진 서혜민

[스포츠조선 이원만 기자] "이러다가 4월 초에도 못하는 거 아닌가요."

원래 지금쯤이면 막 문을 연 K리그의 소식으로 축구팬들이 들떠 있을 시기다. 당초 예정대로라면 지난 2월 29일에 K리그가 문을 활짝 열고 축구팬들을 불러들여 1라운드를 치렀을 시점. 지난 시즌 이후 각 팀마다 많은 변화가 있던 만큼 첫 라운드에 나타난 K리그 구단들의 달라진 모습으로 풍성한 이야깃거리가 한창 축구 팬들을 즐겁게 만들어야 하는 시기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인해 국내 스포츠계는 꽁꽁 얼어붙었다. K리그도 예외일 수 없다. K리그는 지난달 24일 긴급하게 개막 무기한 연기를 결정했다.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퍼지면서 안전을 위해 내린 결정이었다. 전 세계적인 비상 사태라 어느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결정이다.

문제는 이렇게 내려진 '무기한 개막 연기' 시점이 길어질수록 올 시즌 K리그 스케줄이 점점 꼬여갈 수 있다는 점. K리그 각 구단들은 현재 구단 클럽하우스 등에서 일괄적으로 선수들의 건강을 관리하며 언제가 될 지 모르는 개막까지의 컨디션과 전력을 조율하고 있는데, 이렇게 마냥 대기하는 것도 힘들지만 향후 일정 계산 때문에도 골치가 아프다.

A구단 관계자는 "선수들이 개막 시점을 목표로 몸 상태를 맞춰오다가 말 그대로 '무기한 연기'가 되면서 컨디션 조절에 힘들어하고 있다"면서 "또한 향후 K리그 스케줄이 잘 진행될 수 있을지도 걱정이다. 지금 상황이라면 4월 초 개막도 장담할 수 없는데, 이러면 원래보다 한 달 이상 개막이 늦춰질 수도 있다"고 걱정했다.

이 관계자의 걱정처럼 개막이 애초 예정보다 한 달 이상 미뤄지면 K리그1 기준으로 예정된 38라운들 전부 소화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개막 시점에 따라 '라운드 수 축소' 혹은 '스플릿 시스템 한시적 폐지' 등을 고려해봐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이야기도 현장에서 흘러 나온다.

B구단 관계자는 "상황을 두고 봐야 하겠지만, 당초 계획보다 한 달 이상 밀린다면 적어도 4개 라운드 정도가 뒤로 밀린다는 뜻이다. 이러면 12월 한파 속에서 경기를 할 수도 있다"면서 "차라리 올해는 스플릿을 없애고 32라운드 정도로 리그를 간소화하는 것도 대안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프로축구연맹 측은 아직 이런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보고있다. 연맹 관계자는 "지금 가장 중요한 건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는 것이다. 조금이라도 진정 국면에 접어들어야 리그 개막에 관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면서 "또한 일정 조정 등에 관해서도 그 이후에 논의할 문제다. 지금으로서는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데, 일단 기본 원칙은 예정된 38라운드를 전부 소화하는 것이다. 어쨌든 지금 시점에서 라운드 축소나 스플릿 한시 폐지에 대한 이야기는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