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돌아온 캡틴' 홍명보 전무의 시대, 시련은 힘이 된다

전영지 기자

기사입력 2017-11-09 20:55



# "길게 고민하지 않았다. 내 경험을 살려 일하고 싶었다."

'제안을 받고 고민했나'라는 질문에 그는 아주 짧게 답했다.

# "한국 축구가 위기니까. 내가 아는 홍명보라면 그래서 맡았을 것이다."

'왜 하필 이렇게 힘든 시기에 중책을 맡았을까'라는 우문에 그를 아는 축구인들의 대답은 이구동성이었다.

8일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은 홍명보 전 A대표팀 감독을 전무이사로 전격 임명했다. 9회 연속 월드컵 본선행 이후 A대표팀 경기력 논란, 히딩크 논란까지 겹치며 사면초가에 빠진 축구협회의 선택은 '파격'이었다. 2014년 브라질월드컵 이후 3년만에 그가 돌아왔다.

2009년 20세 이하 월드컵 8강, 2010년 광저우아시안게임 동메달, 2012년 런던올림픽 사상 첫 동메달까지 '꽃길'만 걸었다. 국가대표 캡틴으로, 사령탑으로 승승장구해온 그에게 2014년 브라질월드컵 조별리그 탈락은 쓰라린 첫 시련이었다. 단 한번의 실패는 주홍글씨로 각인됐다. '영원한 리베로' 홍명보도 여론의 십자포화를 피하지 못했다. 지난 3년간 '홍명보'는 축구인들에게 아픈 이름이었다. 한국축구가 키워낸 소중한 자산인 홍 감독을 영영 잃을까 아까워 하고, 아쉬워 했다.


지난해 12월 홍명보 자선축구에서 홍명보 감독이 여자축구대표팀 이민아에게 사랑나눔상을 전달하고 있다.  스포츠조선DB
시련의 시기, 지난 3년간 홍 감독은 오히려 의연했다. 가던 길을 뚜벅뚜벅 걸어갔다. 2016년부터 항저우 뤼청에서 1년 반 동안 지휘봉을 잡았다. 만만치 않은 도전이었다. 첫 클럽팀 사령탑 경험은 힘들었지만, 중국 축구의 벽을 온몸으로 깨치는 기회가 됐다. 홍명보 장학재단을 통한 유소년 축구 후원, 사회공헌 활동에 더욱 심혈을 기울였다. 1997년, 포항에서 일본 쇼난 벨마레로 이적할 당시 발생한 수입을 종자돈으로 홍명보장학회를 설립했다. 20년간 한길을 걸었다. 김민우 김진수 이종호 여민지 지소연 등 총 355명의 장학생을 키워냈다. 연말이면 변함없이 홍명보 자선축구를 통해 팬들을 만났다. 총 22억2000만원의 수익금은 소아암 환자, 장애인들을 위해 내놓았다. 지난 7월 여성가족부로부터 체육인 최초로 '청소년 육성 및 보호 유공자 표창 분야' 국민포장을 받았다.


홍 감독과 선수 시절부터 동고동락해온 김병지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은 난세에 소방수를 자청한 배경을 이렇게 유추했다. "홍 감독이 줄곧 해온 생각은 '우리 세대가 축구를 통해 얼마나 많은 혜택을 받았나. 우리가 혜택을 받은 만큼 후배들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것이었다. 우리가 언제부터 돈을 이렇게 벌었고, 언제부터 이렇게 유명했나. 다 축구를 통해 얻은 것이다. 축구를 통해 국민과 후배들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행정가' 홍명보의 장점도 열거했다. "홍 감독은 한국 축구의 전반적인 현장을 두루 경험해봤다. 선수로서 국가대표, 월드컵을 경험했고, 선수와 지도자로 올림픽, 월드컵, 일본 미국 중국 등 해외 스포츠 현장도 두루 경험했다. 유소년 축구에도 같한 관심을 갖고 20년간 장학재단을 운영했다. 한국 축구 정책을 이끌어갈 해박한 지식과 현장 경험, 네트워크가 가장 큰 강점"이라고 분석했다.

'선배' 하석주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아주대 감독) 역시 '홍명보 전무' 시대에 대한 아낌없는 기대를 표했다. "홍 전무라면 잘해낼 것이다. 규율을 지키되 소통할 줄 안다. 귀가 열려 있다. 자기 고집도 또렷하지만, 이해할 부분은 이해할 줄 안다. 책상머리에 그냥 앉아 있는 스타일이 아니다. 부지런히 소통하면서 각계각층의 의견을 많이 듣는 '현장형 리더'의 역할을 잘해내리라 믿는다."

전북 공격수 김신욱은 지난 2일 전북 우승 미디어데이에서 지도자의 꿈을 조심스럽게 드러내면서 이례적으로 홍 감독을 언급했었다. "짧은 시간이지만 홍 감독님과 함께하면서 깊은 인상을 받았다. 지도자의 꿈을 키우게 됐다."

그라운드 선후배들의 기대 속에 더 단단해진 그가 돌아왔다. 꽃길도 가시밭길도 묵묵히 걸어온 그가 또다른 가시밭길을 자청했다. 유소년 축구, 아마축구, 프로축구, 남녀 대표팀에 이르기까지 혁신과 변화를 희망하는 현장의 눈빛들이 간절하다. 홍명보 전무 체제는 16일 축구협회 총회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시련은 힘이 된다. 비가 와도 가야할 곳이 있는 새는 하늘을 난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KBL 450%+NBA 320%+배구290%, 마토토 필살픽 적중 신화는 계속된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