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마사회는 마필생산, 경마, 승마 등 말산업의 국가경제적 파급효과를 규명한 '말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한 산업연관분석' 연구결과를 지난 4일 발표했다.
연구결과 2013년 말 기준으로 말산업의 국가 경제적 파급효과는 '승마 부문'이 1인당 2.1958원으로 한국은행의 산업 대분류 30부문을 기준으로 전체 산업 대비 7위로 나타났다. '말관련업 부문'은 1인당 2.0960원으로 전체 산업 대비 9위를 기록했다. 또한 두 부문은 취업 및 고용 유발 측면에서도 타 산업 부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마 부문'은 국가적 부가가치유발 효과 측면에서 1원당 0.9647원으로 승마 부문의 0.8699원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국마사회 말산업연구소 홍용범 팀장은 "전반적으로 현재의 말산업이 국가 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전반적인 말산업 정책이 경마 부문에서 발생하는 정부재원으로 추진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경마매출 감소에 따른 세수손실에 깊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한 말관련업 분야가 내실 있게 발전하기 위해 부산물을 재료로 활용하는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하는데 역량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기도 했다. 그리고 이는 해외 선진국에서 이미 보편화된 모습과 연계되는 시사점이기도 하다.
해당 연구논문은 현재 농촌경제 학술지 최신호에 실려 있으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학술연구재단 및 구글학술정보 등 관련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자유롭게 살펴볼 수 있다. 농촌경제 학술지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KCI 등재 학술지로 한국농업의 핵심 이슈에 관한 이론 정립 및 정책 제언에 힘쓰고 있다.
신보순기자 bsshi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