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프로축구연맹 클린축구위원회가 4일 '반스포츠적 비위행위의 척결과 함께 K리그의 재도약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어 상시 운영 중인 'K리그 클린센터'를 활성화하고 대한축구협회 신고 및 제안센터 '온라인 신문고'와 협력체계를 확립해 심판 비리와 선수 계약 비리 제보를 접수한다. 또한 향후 범 축구계 통합 신고센터를 추진해 제보 일원화 및 즉시 처벌 등의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 심판, 지도자, 선수 등 모든 축구 관계자들에 대한 의식 전환과 투명성 제고를 위해 윤리 교육을 의무화하고, 부정방지 교육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해 실시한다.
또한 현재 7명으로 구성된 연맹 심판분석위원을 9명으로 증원해 경기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컴퓨터 경기배정을 확대하고, 심판 관리팀을 신설한다. 시즌 시작 전 심판 등의 개인 정보 동의서를 받고 사건·제보 발생 시 즉각 조사에 나선다.
선수 계약과 관련된 비리에 대해서는 관련자의 영구제명, 축구활동 전면금지는 물론 해당 구단에도 추가 선수 영입 금지 등의 강력한 제재가 따른다. 문제가 되었던 외국인 선수 계약비리 근절을 위해 외국인 선수 면담제도를 도입한다. 외국인 선수와 인터뷰나 면담을 통해 선수 계약과 금전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선수가 피해사례를 연맹에 통보할 시 즉시 조사에 착수한다.
한편 클린축구위원회는 지난해 12월 구성돼 축구계의 반스포츠적 행위와 관행들을 척결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해왔다. 위원장 허정무 부총재(한국프로축구연맹)를 비롯해 조영증 심판위원장(한국프로축구연맹), 이용수 기술위원장, 정해성 심판위원장(이상 대한축구협회), 김우찬 변호사(한국프로축구연맹 사외이사), 박종복 부장(KBS 보도본부), 신문선 교수(명지대), 이석명 전 단장(전 수원삼성), 표창원 소장(표창원범죄과학연구소), 이영표 해설위원(KBS)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임정택 기자 lim1s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