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C서울과 성남FC의 FA컵 결승전, 결국 한 골 싸움이다.
수비와 수비, 실수와 집중력의 싸움에서 명암은 엇갈린다. "수비적인 부분에서는 상당히 안정감을 찾았다. 골결정력에서는 올시즌 미숙함을 보였다. 하지만 몰리나와 에벨톤이 복귀를 했다. 많은 골이 필요하지 않는 단판승부다. 수비를 안정적으로 하면서 한 두번의 찬스를 살리는게 중요하다. 공격수와 2선 선수들이 과감한 상황을 만들면 결승전에서 득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최용수 서울 감독의 전술포인트다. "서울이라고 해서 특별히 변화를 주는 건 없다. K-리그에서 서울이 전북 다음으로 실점률이 적지만 우리도 실점 부분에서는 상위에 있다. 서울의 수비를 공략하는 것보다 상대를 어떻게 공략하고 공격수를 어떻게 묶어두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학범 성남 감독의 그림이다.
변수도 있다. 부담과 강등 전쟁이 교차하고 있다. 정규리그에서 그룹A에 포진한 서울은 부담이다. 무조건 이겨야 하는 단두대 매치다. 올시즌의 운명과 함께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티켓도 걸려 있다. 하지만 지나친 긴장은 독이 될 수 있다. 그룹B의 성남은 '밑져야 본전'이다. 최 감독은 선수들이 심리적으로 위축되지 않도록 신경을 쓰고 있다.
선제골 싸움이 승부의 분수령이다. 1대0이든, 5대0이든, 이기면 된다. '모아니면 도'의 결승전이라 선제골을 허용하면 어느 팀이든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하지만 역습으로 추가골을 얻어 맞을 수도 있다.
올시즌 3차례의 대결에선 서울이 2승1무로 우세하다. 성남전 홈 8연승도 달리고 있다. 2008년 10월 26일 이후 패전이 없다. 16득점-1실점이다. 정규리그 기록이다. 서울의 주장 김진규는 "홈에서 성남에 계속 강한 모습을 보였다. 자신감을 갖고 경기장에 들어갈 것이다. 징크스가 쉽게 안깨진다는 것을 보여주겠다"고 했다. 성남의 주장 박진포는 "서울이 강팀이고 우리가 원정에서 약한 모습 보이고 있지만, 징크스는 깨지라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