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홍명보 감독 박주호 '비밀 특훈', 끈을 놓지 않았다

김성원 기자

기사입력 2014-05-29 12:10


2014브라질월드컵 한국대표팀과 튀니지의 친선경기가 28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렸다. 경기를 마치고 거행된 브라질월드컵 출정식에서 홍명보 감독과 선수들이 대형 태극기를 들고 경기장을 돌고 있다.
상암=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2014.05.28/

지난 8일이었다.

박주호(26·마인츠)가 비운에 울었다. 홍명보 월드컵대표팀 감독은 이날 파주NFC(국가대표팀 트레이닝 센터)에서 2014년 브라질월드컵 최종엔트리를 발표했다. 그의 이름은 없었다.

박주호는 올시즌 독일 분데스리가 마인츠에 둥지를 틀었다. 2013~2014시즌 27경기에 출전, 1골-2도움을 기록했다. 독일 축구전문지 키커가 선정하는 베스트11에 세 차례 뽑혔다. 하지만 지난달 5일 프랑크푸르트전 직후 오른쪽 새끼발가락 부위의 염증이 악화돼 7일 제거 수술을 받았다. 봉화직염이었다. 봉와직염은 스트레스 등으로 몸 상태가 나빠져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피부의 균이 번식해 생기는 증상이다.

박주호는 지난달 28일 조기 귀국했다. 그러나 봉합 수술이 재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29일 국내에서 재수술을 받았다. 불운의 시발점이었다. 수술부위가 아물기 까지는 시간이 필요했다. 6월 초에야 정상 훈련이 가능하다는 의료진의 판단이 내려졌다.

홍명보 감독은 박주호의 승선을 의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수술 이후 두 달 동안 쉬어야 한다는 의료진을 얘기를 그냥 흘릴 수 없었다. 마지막까지 고민했다. 하지만 박주호의 자리에는 꺼진 불로 인식된 윤석영(QPR)이 낙점받았다.

홍 감독은 "가장 힘들어했던 부분이 박주호였다. 정확한 상태는 아직까지도 10%도 아물지 않았다는 점이다. 실밥도 풀지 않았다. 코칭스태프와 의료진은 전체적인 기간을 봤고, 얼마만큼 할 수 있을 지 논의를 했다. 가장 염려스러운 부분은 부상 재발도 걱정을 했다. 선택하기가 쉽지 않았다"며 아쉬워 했다. 그리고 "팀을 이끌어오면서 박주호가 브라질행에 오르지 못할 것이라고는 한번도 예상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이런 상황이 벌어졌다. 그러나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스토리가 있었다. 홍 감독은 박주호를 최종엔트리에선 제외했지만 끈을 놓지 않았다.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 '비밀 특훈'을 시켰다. 박주호는 1%의 희망을 안고 프로그램에 맞춰 컨디션을 끌어올렸다.

그 사이 김진수(니가타)의 부상은 '뇌관'으로 떠올랐다. 그는 6일 시미즈와의 J-리그 경기 도중 오른발목을 다쳤다. 홍 감독은 부상이 심각하지 않다는 일본의 소식에 김진수를 최종엔트리에 포함시켰다. 소속팀을 믿었다.


하지만 김진수가 21일 파주NFC에 입소한 후 물줄기가 바뀌었다. MRI(자기공명촬영) 결과, 일본에서의 진단과 달리 더 부상이 심각한 것으로 판명됐다. 재활훈련 과정을 지켜봤지만 월드컵 출전이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반면 박주호는 조만간 정상훈련이 가능하다는 얘기를 들었다. 결국 홍 감독은 김진수 대신 박주호를 낙점했다. '비밀 특훈'이 박주호를 살렸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