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최강희호, 잠비아전 명단의 세 가지 의미

박상경 기자

기사입력 2012-08-10 14:05 | 최종수정 2012-08-10 14:05


지난 6월 11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최강희 감독이 레바논과의 2014년 브라질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2차전에 대비해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고양=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

그동안 A대표팀의 근간은 해외파였다.

2002년 한-일월드컵을 시점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해외파 태극전사들의 숫자는 A대표팀 스쿼드의 절반 이상을 채울 정도로 많아졌다. 때에 따라 달랐지만, 대부분 A대표팀 주전으로 나서 굵직한 무대의 얼굴 역할을 했다. 선진 축구 무대에서 기량을 쌓고 경험을 익힌 이들의 기량은 실전에서 수 차례 입증이 됐다. 필승카드 역할을 제대로 했다. 최강희호가 치른 2014년 브라질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2차전까지 이런 기조는 쭉 이어져 왔다.

이런 가운데 내놓은 잠비아와의 평가전 소집 명단은 다소 의외다. 18명의 선수 모두 K-리거로 구성을 했다. 잠비아전이 열리는 15일은 국제축구연맹(FIFA)이 정한 A매치 데이다. FIFA의 A대표팀 차출 의무규정(소집명단에 오른 선수는 경기 시작 48시간 전까지 A대표팀에 보내줘야 함)에 따라 자유롭게 선수 선발이 가능했다. 베네수엘라와 친선경기를 치르는 일본의 알베르토 자케로니 감독이 가가와 신지(맨유)와 혼다 게이스케(CSKA모스크바) 우치다 아쓰토(샬케04) 등 해외파 전원을 소집한 배경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 감독은 K-리그에 모든 포커스를 맞췄다.

최 감독은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전북 현대를 이끌어 왔다. 두 차례 K-리그를 제패했고, 아시아챔피언스리그에서 정상에 오르기도 했다. 전북 시절 그는 국내파 선수들의 기량에 큰 믿음을 갖고 있었다. K-리거들의 아시아 경쟁력은 최고라고 말했다. A대표팀 감독 취임 뒤에도 "최종예선은 국내파 선수들로도 충분히 치를 수 있다"고 수 차례 밝혀왔다. 이번 소집 명단에도 이런 믿음이 깔려 있다.

경기력을 중시하는 의견도 반영했다. 유럽은 이제 막 새 시즌을 시작하는 상황이다. 선수들 모두 100%의 컨디션이라고 말하기 힘들다. 추춘제(가을에 시작해 봄에 일정이 마무리 되는 제도)를 시행하는 중동리그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굳이 컨디션이 오르지 않은 선수들을 쓰는 것보다 한창 리그 일정을 진행하면서 몸 상태가 정점에 오른 선수들이 더 낫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박주영(27·아스널) 구자철(23·아우크스부르크) 기성용(23·셀틱) 정성룡(27·수원) 등 주축 선수들이 2012년 런던올림픽에 출전해 부를 수 없는 현실적인 제약도 한 몫을 했다.

갖가지 변수가 도사리고 있는 최종예선에 대비하기 위한 카드를 만들고 있는 작업의 일환이기도 하다. 최강희호의 주전 윤곽은 그동안 수 차례 경기를 통해 어느 정도 그려진 상황이다. 하지만 매번 최상의 상황에서 경기를 치를 수는 없는 법이다. 컨디션 저하와 부상, 경고누적 등에 대비해야 한다. 그동안 A대표팀 발탁 경험이 없었던 심우연(27·전북)과 황진성(28·포항) 송진형(25·제주) 뿐만 아니라 그동안 A대표팀 발탁 후 기회를 잡지 못했던 신광훈(25·포항) 정인환(26·인천)까지 포함시킨 것은 이런 구상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