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약 500년 전 튀르키예인들도 그랬다. 1554년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에 커피하우스가 생긴 이래로 2~3년 만에 그 수가 600개로 늘었다. 신분과 직업, 남녀 구분 없이 출입이 허용되면서다. 기록에는 "사람들이 놀고 쉬기에 이만한 곳이 없었다"고 한다.
커피 마시기는 1467년 아라비아반도 끝에 있는 '예멘'에서 시작된 걸로 추정된다. 이슬람교도들이 즐겨 마시면서 메카, 메디나, 카이로, 페르시아 등 가까운 이슬람 세계로 퍼져나갔다. "커피를 마시면 40명의 남자를 말에서 떨어뜨리고 40명의 여자와 동침할 수 있다"는 뜬소문이 마호메트의 이야기라는 황당한 주장까지 등장했다.
그런 뜬소문 속에 커피하우스 문화는 그 시기 아랍 세계를 제패하고, 중부 유럽까지 진출한 오스만제국까지 전해졌으며 17세기에는 유럽으로 전파됐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인 저자가 쓴 이 책은 커피의 탄생과 성장, 재배, 산업화를 비롯해 커피와 관련된 역사와 문화를 조명한다.
책은 남북전쟁에서 커피 공급을 꾸준히 받은 북군이 남군을 압도했다는 이야기, 노동의 피로를 술로 달래던 노동자들이 커피를 마시기 시작하면서 각성효과 탓에 노동시간이 길어진 이야기 등 커피에 얽힌 다양한 서사를 소개한다.
역사비평사. 360쪽.
▲ 막료학 = 쥐런 지음. 김영수 옮김.
고대의 총사령관에 해당하는 장수는 전쟁에 나가면 문인을 초빙해 관직을 줄 수 있는 독자적인 권한이 있었다. 막주(幕主)라 불린 그는 문인들에게 군정 업무를 맡길 수도 있었다. 이런 부서가 막사 내에 설치되면 막부(幕府), 장군을 보좌한 문관은 막료(幕僚)라 불렀다.
저자는 책에서 개념을 조금 넓힌다. 중국사와 인류사 전체에서 각종 이익집단의 핵심 지도부를 '막부'라 규정한다. 책은 막부의 꾀주머니 역할을 했던 막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사기'나 '자치통감' 같은 역사서에서 볼 수 있었던 다양한 막료들의 계책을 1천쪽이 넘는 분량에 걸쳐 소개한다.
저자 쥐런은 베일에 가린 인물로, 이름이 필명인지 본명인지도 밝혀지지 않았다. 본문에 한때 철도화물을 운송했던 일을 했다는 대목이 나오는 게 저자에 대해 알려진 전부다.
들녘. 1020쪽.
buff27@yna.co.kr
<연합뉴스>